관련종목▶
단기간 사용자 급증에도 앱미터기 활용 자동결제 시간대별 탄력요금제 등 신사업 규제로 수익 못내
해외투자유치.분사 등 고민
해외투자유치.분사 등 고민
카카오택시, 카카오드라이버 등 카카오의 모빌리티 사업부문이 분사와 대규모 투자유치를 통해 해외사업에 나설 채비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카카오 모빌리티 사업부문의 해외진출은 국내 사업이 성공해 해외로 발을 넓히는 게 아니다. 여러 정부부처와 지방자치단체, 기존사업자들의 얽히고설킨 규제에 버티지 못하고, 해외에서 제대로 사업을 해보겠다는 고육책이다.
전문가들은 "카카오 모빌리티 사업부문이 한국의 규제를 피해 해외사업에 나서는 사례는 국내에서 오토테크, 빅데이터, 모바일헬스케어 등 신산업이 뿌리를 내리기 어려운 규제 난맥상을 드러내는 단면"이라며 "같은 사례가 되풀이되지 않도록 정책점검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카카오는 모빌리티 사업부문의 해외 투자유치, 분사 등 다양한 사업방안을 놓고 막바지 고민을 거듭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카카오 관계자는 "모빌리티 사업부문의 투자유치나 분사 등에 대해 다각적으로 검토를 진행하고 있다"며 "다만 현재까지는 구체적으로 결정된 것은 없다"고 말했다.
■가입자는 느는데 수익위한 신사업은 적용 못해
카카오택시와 카카오드라이버는 국내 오토테크 산업을 이끄는 선두주자로 평가받고 있는 서비스다. .
2015년 3월 출시된 카카오택시 서비스는 현재 가입자 1400만명, 전국 기사회원 29만명을 보유하고 있다. 카카오택시의 하루 최대 호출은 150만건, 누적호출 3억1000만건을 기록하고 있다. 지난해 5월 출시된 대리운전 서비스 카카오드라이버도 지금까지 가입자 220만명, 누적 호출 880만건 등의 성과를 거두고 있다.
카카오택시와 카카오드라이버가 명실상부 국내 최고의 오토테크 서비스로 자리잡은 것이다.
카카오 관계자는 "카카오택시는 우리나라 택시 문화를 완전히 바꿔놓은 서비스"라며 "길에서 손을 흔들어 택시를 타는 것이 아니라 내가 원하는 곳으로 택시를 부르는 문화가 카카오택시 서비스로 정착됐다"고 강조했다.
■규제에 발목잡혀 수익성 '0'…"앞길이 안보인다"
카카오 모빌리티 사업부문은 단기간에 사용자 급증이라는 성과를 올리기는 했지만, 규제에 발목이 잡혀 더 이상 성장의 방법을 찾지 못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카카오는 카카오택시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앱에서 택시비용까지 결제할 수 있도록 한 뒤 결제수수료를 받는 수익모델을 구상했다.
이를 위해 현재 택시에 부착돼 있는 기계식 미터기(요금계산기) 대신 애플리케이션(앱) 미터기를 도입하는 게 필수다. 그러나 현재 국내에서는 일반 택시에서 앱 미터기로 요금을 계산하는 것 자체가 불법이다. 카카오는 국토교통부와 수년째 앱 미터기 도입 논의를 하고 있지만 아직 도입 여부도 확정되지 않았다.
궁여지책으로 카카오는 한국스마트카드와 제휴, 상반기 중으로 자동결제시스템을 도입하기로 했다. 앱 미터기 없이 택시기사가 택시에 부착된 기계식 미터기로 계산된 택시요금을 카카오택시 기사 앱에 입력하면 이용자가 미리 등록한 신용카드로 자동결제되는 방식이다. 앱 미터기 문제가 풀리지 않아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 하는 것이다.
■글로벌 오토테크 산업 커지는데…한국선 서비스 못해
이외에도 합승, 차량렌트 등을 활용한 새로운 서비스 역시 규제에 가로막혀 도입되지 못하고 있다. 해외 유력 오토테크 기업인 우버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합승서비스, 차량이 없는 기사를 위한 차량 렌트서비스 등을 잇따라 선보이고 있지만 카카오는 손놓고 지켜볼 수밖에 없는 처지다. 우리나라에서 합승, 빌린 차량을 활용한 택시운행 등은 모두 불법이기 때문이다.
이에 카카오는 해외로 눈을 돌릴 것으로 보인다. 이미 해외에서는 우버, 디디추싱, 올라와 같은 오토테크 기업들이 가입자와 수익 두마리 토끼를 모두 잡고 있는 만큼 카카오도 국내 시장만 고집하지 않고 해외에 진출해야 한다는 분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syj@fnnews.com 서영준 허준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