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와이파이 메카', 기업엔 수익창구 국민엔 통신요금 절감 모델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국민들의 통신요금 절감을 위해 학교와 버스에 공짜로 쓸 수 있는 공공 와이파이(WiFi)를 설치하는 '와이파이 메카' 정책에 기업과 지방자치단체들의 수익모델을 포함시키기로 했다.
기업이나 지자체가 공공 와이파이를 통해 새로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사업모델을 포함시켜 서비스 주체가 스스로 와이파이 보안과 품질제고를 위한 투자에 나서도록 한다는 것. 이를 통해 국민들은 품질좋고 안심할 수 있는 공공와이파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기업들은 새로운 사업거리를 찾을 수 있도록 하겠다는 전략이다.
■공공 와이파이를 새 수익창구로 제공한다
17일 과기정통신부 및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이동통신3사 등 산·학·연 전문가 25명으로 구성된 공공 와이파이 확대 실무작업반을 통해 안전한 공공 와이파이 구축을 위한 기술적 방안과 다양한 서비스 모델을 마련중이다.
다음달 중 ‘와이파이 메카 조성’ 관련 청사진을 제시할 실무작업반에서는 학교와 버스에 설치될 20여만개의 와이파이 공유기를 통해 기업이나 지자체가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을 제공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공공와이파이 공유기의 운용비용을 맡을 이동통신 3사나 지자체가 스스로 공유기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동인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내년부터 순차적으로 도입할 5만여대 전국 시내버스 내 공공 와이파이의 경우 접속 전 통신사업자 광고를 일정시간 노출하는 방안이 검토대상이다. 스타벅스 매장에서 무료 와이파이에 접속할 때, 이마트 등 신세계그룹 광고를 노출하는 것과 유사한 형태다.
또 수서고속철도(SRT) 등에 적용된 모바일 인포테인먼트(정보+오락)도 새로운 수익모델로 꼽힌다. 즉 탑승객이 공공 와이파이에 연결한 후, 처음 접하는 인터넷 화면에 SK텔레콤·KT·LG유플러스 등 와이파이 제공 사업자가 공급한 모바일 동영상이나 뉴스 등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는 해외에서 구글과 페이스북 등이 인터넷이 없는 나라에 와이파이를 제공하면서 자사 서비스를 함께 제공하는 것과 같은 방식이다. 특히 구글은 국제공항이나 항공기 내 무료 인터넷 공급 계약을 맺은 뒤 브랜드 홍보 및 기타 광고수익을 얻고 있다.
탑승자 이동경로에 따른 빅데이터로 관광 수익모델도 확보할 수 있다는 조언도 나왔다. 현재 시범사업 형태로 공공 와이파이 구축 버스를 운영 중인 제주도의 경우, 버스에서 단 한차례만 ‘제주 프리 와이파이(Jeju Free Wi-Fi)’에 대한 본인 인증을 받으면, 올레길이나 해안도로 등에 마련된 공공 와이파이로 무료 와이파이를 이용할 수 있다.
■'공공와이파이=관리부실 설비' 공식 없앤다
그동안 공공와이파이는 통신사들이 설비만 제공하고 막대한 운용비용을 보전할 방법이 없어 사실상 한번 설치한 뒤에는 제대로 관리를 하지 않았던게 사실이다. 이 때문에 공공와이파이는 보안에 취약하고 품질도 형편없는 부실한 통신망이라는 낙인이 찍혀 있었다.
이 때문에 정부의 공공와이파이 확대 정책이 부실한 통신망 하나 더 만드는 것 아니냐는 비판도 제기됐었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공짜 인터넷 등 단순 가계통신요금 절감대책으로만 공공 와이파이 확대 사업을 접근하지 않을 것”이라며 “미국 뉴욕이 진행한 공공 와이파이 운영 전략 등 해외사례도 연구하면서 공공와이파이가 기업과 국민 양쪽에 모두 실질적 도움이 되는 정책으로 만들어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elikim@fnnews.com 김미희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