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2P가 대체투자 다양성 이끌어.. 투자 한도 1000만원은 풀어야
"기존에 고액자산가가 누리던 고수익 부동산 투자상품을 정보기술(IT)의 발전으로 1만원이든, 1000만원이든 소액투자자 누구나 쉽게 투자할 수 있게 됐습니다."
28일 서울 여의도 63빌딩 본사에서 만난 서상훈 어니스트펀드 대표(사진)는 "P2P가 대체투자의 대중화를 이끌어가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P2P 상품이 등장한 이래로 증권사가 PB센터에서 고액자산가들에게나 팔수 있었던 상품들을 대중화시키고 있다는 설명이다.
P2P(Peer to Peer)는 말 그대로 개인과 개인이 돈을 주고받게 해주는 금융서비스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서 대표는 기존에 통용되는 P2P에 대한 정의보다 확대 해석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P2P에서 'P(Peer)'는 개인만을 의미하지 않는다"며 "Peer는 투자의 대상이 될 수 있는 개인은 물론, 중소기업과 부동산 등 모든 경제주체를 함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런 의미에서 우리가 생각하는 P2P는 전통적인 금융사인 은행이나 카드사를 통하지 않고, 경제주체들이 온라인을 통해 금융거래를 하는 것"이라며 "선진국에서는 P2P를 '마켓플레이스 랜딩(Marketplace Lending)'이란 표현이 맞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고 덧붙였다.
실제 우리보다 핀테크산업이 앞서 있는 미국, 영국에서는 지난 2015년부터 P2P금융이란 용어 대신, '마켓플레이스 렌딩'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이는 P2P에 참여하는 기관투자자의 비중이 높아지면서 단순하게 Peer가 개인이 아닌 경제주체의 의미를 담고 있다는 점을 인정했기 때문이다.
어니스트펀드도 이 같은 맥락을 반영해 개인 간 대출을 넘어 다양한 상품을 출시하고 있다. 서 대표는 "개인신용, 부동산, 중소기업 등 다양한 상품 라인업을 갖추려고 노력 중"이라고 말했다.
그는 "부동산 상품의 경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개념인데 매달 투자에 대한 수익(이자) 상환이 가능하다"며 "다만, 프로젝트가 마무리가 되고 원금이 상환되는 만큼 신용상품보다 리스크가 큰 편"이라고 설명했다. 또 "신용상품의 경우 부동산과 달리 원금과 이자가 매달 함께 상환되는 만큼 리스크가 적고 원금손실 가능성도 거의 없다고 보면 된다"고 부연했다.
리스크에 따라 수익률도 차이가 있다. 부동산의 경우 평균 11~14%대의 수익률이 많은 반면, 신용상품의 경우 6~8%대의 상품이 많다. 그래도 저금리 시대 적지 않은 수익률인 셈이다.
성장가도를 달리고 있는 P2P사업에서 가장 우려되는 부분은 규제 걸림돌이다. 서 대표는 금융당국의 P2P 규제에 대해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 두 가지 측면에서 바라봤다.
우선 긍정적인 부분에 대해서는 "P2P시장도 규모가 커지다보니 업체가 난립할 수 있고, 그 와중에 공정하지 않게 거래를 해 투자자들의 돈에 배달사고 등의 문제가 발생할 여지도 커진 만큼 금융당국의 감시는 필요한 시기라고 본다"며 "이를 통해 시장에서 P2P에 대한 신뢰가 더 높아지는 것은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연 투자한도가 1000만원으로 낮아지다보니 자산관리 매력도가 확연히 줄어들었다"며 "자기자본 투자를 전면 금지함에 따라 사업진행에 유연성이 결여되면서 투자자들의 참여도가 저조해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서 대표는 "이 때문에 대부분의 P2P업체들은 투자자들의 참여가 저조해지면서 마케팅 비용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게 됐고, 급성장세를 타던 P2P 시장에 제동이 걸리기 시작했다"고 부작용을 우려했다. 마지막으로 서 대표는 "P2P금융은 개인을 넘어 중소기업, 부동산업체 등에 자금 조달에 있어 긍정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고, 고수익 상품을 개인에게 전달하는 일종의 플랫폼적 역할을 하고 있다"며 "향후 이런 취지를 제대로 살리고 사업을 확장시켜 나갈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pja@fnnews.com 박지애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