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현장24시] 제주4.3 70주년, ‘닫힌’ 4.3을 경계한다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8.02.26 16:41

수정 2018.09.04 17:34

제주도, 올해 160억원 투입 5대 분야 135개 사업 추진
소통과 연대·화합…4.3 완전 해결 결집된 목소리 절실 

‘4·3 70주년 2018 제주 방문의 해' 이미지 광고. /사진=fnDB
‘4·3 70주년 2018 제주 방문의 해' 이미지 광고. /사진=fnDB

[제주=좌승훈기자] 올해는 ‘4.3 70주년 제주 방문의 해’다. 제주도는 4.3의 아픔을 화해와 상생, 평화와 인권의 미래가치로 전 국민·세계인과 함께 4.3 70주년을 기념한다는 게 ‘4.3 70주년 2018 제주 방문의 해’ 추진 배경이다.

제주도는 이를 위해 올해 4·3 추모위령·문화예술·학술·교류협력·세대전승 5대 분야 135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공식적으로 잡혀 있는 예산만도 160억7900만원이다.

4.3은 여전히 미완의 역사이며, 현재 진행형이기에, ‘올해는 몇 십 주년’ 하는 식의 표현은 자칫 이벤트성 행사로 비춰질 수도 있다.

그러나 이른 바 ‘꺾어지는 해(10주년, 20주년, 30주년…)’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는 것은 제주 4.3의 남겨진 과제를 풀어가기 위해 온 역량을 집중해 나가자는 뜻일 것이다

제주 4·3 진상 규명 및 전국화·세계화를 위한 제주 4・3 70주년 범국민위원회도 운영되고 있다.

제주도내 69개 4·3관련 단체로 구성된 4·3 70주년 기념 사업회를 중심으로, 전국 단위 시민사회단체와 문화예술계, 노동계, 학계, 여성단체 등이 참가하고 있다.

민간 차원의 협의체로서, 제주도 차원의 4·3 70주년 공식 기구는 아니지만, 현재 4·3 70주년 기념사업을 주도적으로 펼쳐 나가고 있다.


배정된 예산도 4·3 70주년 기념 사업회가 31개 사업·31억4500만원이고, 4·3 70주년 범국민위원회가 7개 사업·9억9500만원을 집행한다.

지난해 9월 5일 열린 제주4·3 70주년 2018 제주 방문의 해 선포식. 제주특별자치도는 내년 4·3 70주년을 ‘제주 방문의 해’로 정하고 4.3 정신의 전국화.세계화를 위해 168억4400만원을 투입한다. (사진=제주도 제공)
지난해 9월 5일 열린 제주4·3 70주년 2018 제주 방문의 해 선포식. 제주특별자치도는 내년 4·3 70주년을 ‘제주 방문의 해’로 정하고 4.3 정신의 전국화.세계화를 위해 168억4400만원을 투입한다. (사진=제주도 제공)

분명한 것은 이른바 4·3 정신의 계승은 분열과 갈등, 대립을 넘어 화해와 상생의 시대로 나가자는 데 있다.

4·3의 전국화·세계화 취지도 그렇다. 따라서 행사를 위한 행사, 반쪽 4·3, 닫힌 4·3이어서는 곤란하다.

그렇지 않아도, 국회에 발의된 제주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 전부개정 법률안에 대한 국회 처리를 앞두고 최근 제주도내 보수진영에서 “4·3 성격 규명을 제쳐두고 특별법을 개정하는 건 허상”이라며 전 도민이 참여하는 4·3토론회를 제안한 바 있다..

‘4·3 흔들기’라고 덮어씌울 일도 아니다. 정명(正名)의 문제다. 지역사회 내 4·3에 대한 반목과 갈등이 여전히 내재돼 있다. 애써 외면한다고 해결될 일이 아닌 것이다.

‘제주4·3은 대한민국의 역사입니다’ 릴레이 캠페인 선포식. 사진은 왼쪽부터허영선 4·3 제70주년 범국민위원회 상임대표, 이석문 제주도교육감, 양윤경 제주4·3희생자유족회장, 원희룡 제주도지사, 고충홍 제주도의회 의장, 손유원 제주도의회 4·3특별위원회 위원장, 양조훈 제주4·3평화재단 이사장. /사진=fnDB
‘제주4·3은 대한민국의 역사입니다’ 릴레이 캠페인 선포식. 사진은 왼쪽부터허영선 4·3 제70주년 범국민위원회 상임대표, 이석문 제주도교육감, 양윤경 제주4·3희생자유족회장, 원희룡 제주도지사, 고충홍 제주도의회 의장, 손유원 제주도의회 4·3특별위원회 위원장, 양조훈 제주4·3평화재단 이사장. /사진=fnDB

■ 유족회-경우회 합동참배…“진보·보수, 좌우 이념 굴레 벗자”

4·3 해결을 통해 실현해야 할 가치로서, 전 국민 설문조사 결과, 화해·상생(제주 52.9%, 전국 34.3%)을 꼽은 것도 주목할 만하다.

이는 4·3의 진실을 찾고, 반목과 갈등, 좌우이념의 굴레를 벗기 위한 대승적 결단을 위해 진보·보수, 여야, 민과 관이 적극 머리를 맞대라는 주문과도 같다.

지금 우리에게는 제주4·3의 완전 해결을 위한 소통의 공감대와 화해정신의 확산, 결집된 목소리가 절실하다.

이미 반목과 갈등으로 점철됐던 4·3희생자유족회와 제주특별자치도재향경우회가 4·3 발발 65년 만인 2013년 화해·상생의 첫 걸음을 내디딘 후, 4년째 제주4·3평화공원을 찾아 합동참배를 하고 있다.


4·3을 탐색하고, 알리고, 기념하고, 화해하는 일은 70주년을 맞은 우리에게 주어진 역사적인 소명이다.

바라건대 기존 4·3 행사도 기득권 행사가 아닌, 진보와 보수를 떠나 도민들이 한데 어우러지는 소통과 연대, 화합의 큰 마당으로 거듭나길 기대한다.


4·3 기념사업이 10년 주기로 펼쳐진다면, 4·3 생존자들이나 경험세대에게는 4·3 70주년인 올해가 거의 마지막 기회일 수도 있기에 하는 말이다.

jpen21@fnnews.com 좌승훈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