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질 분석 측정소도 확충
부산시가 '봄의 불청객'으로 떠오른 미세먼지 줄이기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배출원별로 저감대책을 추진하고, 정확한 대기질 분석을 위해 측정소를 확충한다. 미세먼지 주의보.경보가 발령되면 관용차량 운행을 줄이고, 경보 발령 시 직원 차량은 2부제 운행을 시행한다.
부산시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미세먼지 저감대책'을 수립했다고 2일 밝혔다.
저감대책은 측정소 확충 및 모니터링 강화, 배출원별 저감대책 추진, 대기질 상황 및 행동요령 전파 등 크게 세 갈래로 추진된다.
먼저 측정소 및 모니터링 강화를 위해서는 현재 가동 중인 미세먼지 측정소 23곳을 올해 안에 1곳, 2020년까지 5곳을 증설해 모두 29곳을 가동하기로 했다. 자동 성분분석기도 지난해 3곳에 설치해 현재 가동 중이다.
배출원별 저감대책도 내놨다. 선박.항만 분야에서 배출규제해역을 지정하고 육상 전력공급시설을 설치하기로 했다. 부두와 야적장 등을 운항하는 야드트랙터 658대를 액화천연가스(LNG) 연료로 전환하고, 2021년까지 관공선 7척의 연료도 친환경 연료로 바꿀 예정이다.
도로 재비산먼지 전용 제거차량은 34대에서 2019년까지 50대로 늘려 공단 이면도로까지 운영한다. 2020년까지 건설기계 230대의 엔진도 교체할 계획이다.
2020년까지 전기이륜차 1000대, 전기자동차 8000대, 천연가스 자동차 3100대를 보급하고 노후 경유차 7000대를 조기 폐차하며 어린이 통학차량 200대도 액화석유가스(LPG) 차량으로 바꾸기로 했다.
미세먼지 주의보와 경보 상황에서 단기적이고 즉각적인 대응방안도 마련했다. 먼저 주의보 단계에서는 먼지 제거차량을 59대 운영하고, 경보가 발령되면 급수차량까지 동원해 모두 94대의 미세먼지 제거차량을 가동한다. 자동차 배출가스를 줄이기 위해 주의보와 경보 발령 상황에서 관용차량의 3분의 1을 운행금지하고, 경보가 발령되면 공무원 차량에 한해 2부제 운행을 권고하기로 했다. 대기질 상황 및 행동요령 전파를 위해선 올해 안으로 대기질 알리미를 19곳 추가 설치하고, 버스 정보안내기 450곳을 이용해 상황을 알린다.
부산시는 이와 함께 미세먼지 특별법 제정과 대기환경보전법 개정을 정부에 건의하고, 부산시 차원에서도 미세먼지 예보 및 경보에 관한 조례를 개정할 계획이다.
bsk730@fnnews.com 권병석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