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단 투자 배경은
별도 법인·결제파트너 없이 바로 글로벌 서비스 가능
SKT·네이버·카카오 블록체인 생태계 확장하고 KT도 기술 개발에 주력
별도 법인·결제파트너 없이 바로 글로벌 서비스 가능
SKT·네이버·카카오 블록체인 생태계 확장하고 KT도 기술 개발에 주력
SK텔레콤, KT, 네이버, 카카오 등 굴지의 정보통신기술(ICT) 기업들이 잇따라 블록체인 사업에 진출하고 있는 배경이 글로벌 시장 공략이라는 어려운 숙제를 풀기 위한 전략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한국 ICT 기업들은 이렇다 할 해외사업 실적을 내지 못한 채 국내에 고립돼 있었던 게 사실이다. 그런 차에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면 결제 인프라 등에 대한 막대한 투자 없이도 바로 글로벌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어 해외시장 공략에 유리한 입지가 마련된다는 것이다.
결국 당초 글로벌 DNA를 갖고 탄생한 블록체인 기술이 고립돼 있던 국내 ICT기업들의 해외시장 진출 교두보로 성과를 낼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2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 KT 등 통신사와 네이버와 카카오 등 국내 대표 ICT 기업들이 하나같이 블록체인 전담 조직을 운영하며 글로벌 시장 문을 두드리고 있다.
■전담조직 꾸리고, 블록체인에 투자 늘려
SK텔레콤은 오픈블록체인산업협회 초대 협회장을 맡고 있는 오세현 블록체인사업개발유닛장(전무)을 주축으로 블록체인 생태계 조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유망 블록체인 스타트업(창업초기기업)들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으며, 블록체인 기반 자산관리, 결제 서비스 등을 준비하고 있다.
KT도 융합기술원 산하에 블록체인센터를 두고 블록체인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센터장은 서영일 상무가 맡고 있다. 이미 자회사 BC카드 등의 기업 문서관리시스템(EDMS)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했으며, 모바일 상품권 '기프티쇼'에도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했다.
네이버와 카카오는 아예 자회사를 설립하고 본격적으로 블록체인 생태계 확장에 나서고 있다. 네이버의 블록체인 사업은 라인이 주도하고 있다. 라인은 블록체인 자회사 언블락과 언체인을 설립하고 블록체인 플랫폼 개발, 블록체인 기반 D앱(댑, Dapp) 발굴에 나섰다. 카카오 역시 자회사 그라운드X를 설립했다. 그라운드X도 블록체인 플랫폼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다.
■ICT기업 숙원 '글로벌 공략', 블록체인이 푼다
이처럼 국내 대표 ICT 기업들이 블록체인 분야에 군침을 흘리고 있는 것은, 블록체인이 아킬레스건이었던 글로벌 시장 공략의 열쇠가 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SK텔레콤과 KT 등 통신사들은 수차례 해외 법인을 설립하고 통신망 구축 사업을 진행하며 해외 시장 진출을 노렸지만 번번이 고배를 마셨다.
네이버와 카카오 역시 국내 매출 비중이 해외보다 압도적으로 높다. 일본이나 동남아시아 지역에서는 라인이나 픽코마 등이 성공한 사례는 있지만 북미나 유럽 공략에서 의미있는 성과를 만들어내지 못했다. 특히 네이버와 카카오 등은 안방에서도 구글과 유튜브, 페이스북 등에 시장을 내주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부상한 블록체인 기술은 국내 ICT 기업에 단비나 다름없다. 블록체인 기술 기반의 서비스는 가상화폐를 통해 구동되고, 가상화폐는 국경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이동되기 때문에 글로벌 서비스에 최적화됐다. 현지에 별도로 법인을 세우거나 결제 파트너 등을 찾지 않아도 바로 글로벌 서비스가 가능한 것이다.
게다가 전 세계 블록체인 업계가 한국을 주시하고 있는 상황도 이들에게는 호재다. 전 세계에서 가장 활발하게 가상화폐가 거래되고 있는 한국으로 글로벌 블록체인 전문가들과 기업들이 모여들고 있다. 한국 기업이 블록체인 분야를 선도할 수 있는 토양이 마련된 것이다.
한 블록체인 기업 대표는 "블록체인 기술 기반의 가상화폐를 주고받는 블록체인 생태계는 사실상 국경이나 환율과 같은 결제 장벽이 없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글로벌 서비스로 확장된다"며 "그동안 천문학적인 금액을 투자하며 글로벌 시장을 두드리고도 실패했던 국내 ICT 기업들이 블록체인 분야에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는 이유"라고 설명했다.
jjoony@fnnews.com 허준 기자 jjoony@fnnews.com 허준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