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재계 3.0시대 성공방정식 찾는 젊은 총수들] '경영승계·지배구조 개선' 사회적 합의부터 얻어내야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8.06.04 17:22

수정 2018.06.04 21:37

(中) 지배구조 난제를 풀어라
합법적 승계·공익 가치 추구.. 선진국에선 가업 승계 존중
경영 손실 최소화·사업 집중.. 복잡한 지배구조 개선 노력
[재계 3.0시대 성공방정식 찾는 젊은 총수들] '경영승계·지배구조 개선' 사회적 합의부터 얻어내야
[재계 3.0시대 성공방정식 찾는 젊은 총수들] '경영승계·지배구조 개선' 사회적 합의부터 얻어내야
한국 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는 대기업의 투자 확대와 계속 성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국내 대기업은 거의 가족기업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구조상 원활한 경영권 승계 없이는 대기업에 의존한 한국 경제의 뿌리가 흔들릴 수 있다는 의미다. 결국 창업주 3~4세대들이 안정적으로 기업을 성장시키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통과해야 할 관문이 안정적인 경영승계와 지배구조 확보다. 하지만 이 관문을 통과하는 일은 무척 어렵고, 그 과정에서 많은 문제가 양산되고 있다. 현재 명확한 해답을 얻기는 어렵지만 재계와 정부가 함께 풀어가지 않으면 안된다. 이에 한국 경제와 기업의 지속가능한 가치창출을 위해 그동안 방관한 승계 환경을 들여다보고 제도를 정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승계 제도 지원으로 인식 바꿀 때

미국의 포드, 독일의 BMW와 헹켈, 네덜란드 하이네켄의 공통점은 3~5세대에 이르는 원활한 기업경영권 승계를 통해 지금도 초우량회사로 성장하고 있다는 점이다.
전문경영인(CEO) 체제가 자리잡은 선진국에서도 전통적으로 가업을 승계하는 문화는 존중된다. 초점은 온전히 기업에 있다. 어느 경영체제든 기업가치만 올릴 수 있다면 문제가 안된다는 관점이다.

이성봉 서울여대 교수는 한국경제연구원을 통해 발간한 '해외 대기업의 승계사례 분석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이들에 나타난 네 가지 승계 특징을 정리했다. 이는 △승계에 대한 종합적인 계획과 가족 간 유대감 △상속증여세 부담 최소화 △가족의 기업지배력 약화 방지 △합법적인 제도를 통한 승계 등이다.

안정적으로 기업을 지배하기 위한 승계과정은 다양했다. 포드는 지분이 많은 주주가 더 큰 목소리를 내는 차등의결권 주식을 발행했고, BMW는 우호세력의 비호 속에 지분을 자손에게 안전하게 상속했다. 헹켈은 가족구성원이 주주총회에서 단결적 의결권을 행사하고 외부 매각을 제한하는 '가족지분풀링협약'이라는 전통을 만들었다. 하이네켄은 3세대 때 현재의 지주회사를 세웠고 5세대까지 안정적으로 기업을 승계했다.

특히 제도적 틀 안에서 합법적인 승계를 이뤄낸 점이 인상적이다. 이 교수는 "경영권 승계과정이 원활하지 못하면 기업의 지속성이 저해돼 결국 우리 경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대기업 승계를 원활하게 해줄 수 있는 제도적 환경에 대해 연구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사연도 제각각' 얽히고설킨 지배구조

승계는 상속 과정에서 맞물리는 복잡한 지배구조를 풀어내는 작업이다. 상속자는 승계 이후에도 경영권 손실을 최소화해야 한다. 완전히 경영권을 장악해야 사업에 집중할 수 있어서다. 이에 따라 재계는 속속 지배구조 개선안을 마련하고 있다.

다수의 국내 대기업들은 총수일가가 A→B→C→A 식의 순환된 지분구조(순환출자)를 통해 전체를 지배하고 있다. 대주주는 작은 지분으로 계열사 전체를 지배할 수 있지만, 계열사 하나가 흔들리면 그룹 전체가 흔들린다. 정부가 대기업에 지주회사 체제를 요구하는 이유다.

현재 삼성그룹 순환출자 고리는 총 4개다. 실제 삼성은 삼성SDI가 보유중인 삼성물산 지분 전량을 매각한 데 이어 삼성전기와 삼성화재가 보유한 삼성물산 지분 매각을 앞두고 있다.

현대차는 최근 '총수일가→현대모비스→현대차→기아차'로 이어지는 지배구조를 만들려다 미국 행동주의 헤지펀드 엘리엇에 발목을 잡힌 상태다. 현재 정몽구 회장의 모비스 지분율은 7%이지만 정의선 부회장은 지분이 없다. 정의선 부회장이 모비스 지분을 확보하기 위해선 수조원의 자금이 필요하다.

가장 먼저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해 '모범기업'으로 꼽히는 LG그룹도 일감몰아주기는 풀어야 할 숙제다. LG의 대표적 친족기업 일감몰아주기 사례는 희성전자로, 고 구본무 회장의 동생들이 주요 주주다. 친족기업에 대한 내부거래 규제는 없으나 주력 생산제품의 60%가량을 LG디스플레이에 공급하고 있다.

한화그룹은 한화S&C와 한화시스템 합병을 발표했다. 한화S&C는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의 세 아들이 보유하던 업체로, 일감몰아주기의 대명사로 꼽혔다.
이에 한화는 지난해 에이치솔루션(존속법인)과 한화S&C(신설법인)로 물적분할하고, 에이치솔루션 한화S&C 지분(100%) 중 44.6%를 외부에 매각했다. 하지만 에이치솔루션의 지분(100%)은 여전히 이들 오너 3세가 보유하고 있어 '꼼수'란 지적이 있었다.
이번 한화시스템과의 합병 결정은 이런 지적을 해소하기 위해서다.

km@fnnews.com 김경민 김용훈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