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과학 건강

서울아산병원, 위암억제 세포 핵수용체 발견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8.06.12 17:45

수정 2018.06.12 17:45

왼쪽부터 박윤용 융합의학과 교수, 명승재 소화기내과 교수
왼쪽부터 박윤용 융합의학과 교수, 명승재 소화기내과 교수

세포 내에서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핵수용체가 위암의 성장을 막는다는 사실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처음으로 밝혀졌다.

서울아산병원 융합의학과 박윤용.소화기내과 명승재 교수팀은 위암 조직과 정상 위 조직의 유전체 데이터를 비교 분석한 결과, 세포 내 'ESRRG'라는 핵수용체가 위암의 발생과 성장을 억제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12일 밝혔다.

위암은 국내 남성 암 발병률 1위인 것에 비해 효과적인 항암제 개발 속도가 빠르지 않다. 다른 암에 비해 위암 발병 기전에 대해 거의 밝혀진 게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번 연구로 항암 신약 개발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Nature Communications, IF=12.124)에 최근 게재됐다. 연구팀은 위암 조직과 정상 위 조직에서 유래된 500여 개의 유전체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세포 내 'ESRRG'라는 핵수용체의 발현이 위암 조직보다 정상 위 조직에서 약 15배 이상 증가해 있었다고 밝혔다.

쥐를 대상으로 'ESRRG'를 인위적으로 활성화시킨 결과 위암 세포의 성장이 유의적으로 감소했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또 'ESRRG'가 위암 세포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 결과 'ESRRG'가 과발현되면 암을 발생시키는 윈트신호(Wnt-Signaling) 관련 유전자 발현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했다. 실제 'ESRRG'를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약물을 위암세포에 주입시켰더니 암 발생과 관련된 유전자 발현이 줄어들었다.
박윤용 서울아산병원 융합의학과 교수는 "위암 표적항암제는 아직 전체 위암 환자 중에서 약 10% 정도에서만 효과를 보이고 있다"며 "효과적인 새로운 위암 치료 항암제를 개발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pompom@fnnews.com 정명진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