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근원물가 상승률 둔화, 한은 금리인상 딜레마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8.07.19 17:27

수정 2018.07.19 17:27

금리 올리면 소비에 부담, 안 올리면 美와 격차 확대
근원물가 상승률 둔화, 한은 금리인상 딜레마


올 하반기 접어들면서 한국은행 내부에서 금리인상에 적극적인 '매파'색이 강해지고 있다. 금융안정과 미국과의 금리 역전 폭 확대에 의한 자본유출을 우려, 금리를 조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것이다. 다만 우려되는 부분은 근원물가 상승세의 이례적 둔화다. 수요측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근원물가 상승률이 1% 초반에 그치고 있다. 물가가 지나치게 낮은 상황에서의 금리인상은 경기에 부담을 줄 수 있다.


■다시 떨어지는 근원물가

19일 통계청에 따르면 전년 동월 대비 근원물가를 의미하는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는 지난 6월 1.2%를 기록했다. 올 들어 근원물가는 1% 초반대다. 낮은 것도 문제지만 추세 하락 기조가 더 우려되는 점이다.

근원물가지수 상승률 추이를 보면 지난해 12월 1.5%에서 지난 1월 1.1%까지 급락한 이후 소폭 오름세를 보여 지난 4월에는 1.4%를 기록했다. 그러나 이를 정점으로 다시 하락세를 보여 지난 6월 5개월 만에 최저치를 나타냈다.

낮은 근원물가에 한은과 전문가들의 분석은 일부 차이를 보이고 있다. 한은은 정부가 일정부문 가격을 통제하는 '규제물가'의 영향으로 본다.

이환석 한은 조사국장은 지난 12일 '2018년 하반기 경제전망' 설명회 자리에서 "(근원물가가) 높지 않은 이유를 보면 공공서비스와 같이 경기 외적인 요인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라며 "근원물가에서 공공서비스 영향을 제외하고 보면 1.4분기와 2.4분기 숫자보다 0.2~0.3%포인트 높다고 보면 된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경기부진의 영향으로 근원물가 상승률이 낮은 것으로 분석한다. 근원물가는 수요 측면에서 기조적인 물가 추세를 살펴볼 수 있는 지표이다. 따라서 소비 심리나 경기 상황이 악화되면서 근원물가에 하방압력이 가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근원물가, 통화정책 발목잡나

한은은 하반기 들어서 매파색을 드러내고 있다. 이달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에서 이일형 위원은 기준금리 인상이 필요하다는 소수의견을 냈다.

금통위에서 이주열 한은 총재도 내외금리차 확대를 우려하며 "글로벌 자금 흐름의 변동성이 매우 큰 상황에서 금리 역전 폭이 더 확대된다면 자금유출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언급했다.

미국은 올해 9월, 12월 금리를 올릴 것으로 예상된다. 이 경우 현재 50bp(1bp=0.01%포인트)인 한국과 미국 간 금리역전 폭은 100bp까지 벌어지게 된다. 과거 사례를 봤을 때 한·미 금리차가 50~100bp 벌어졌을 때 외국인 자금 유출이 본격화됐다.

금리 인상 과정에서 한은의 고민거리는 근원물가가 될 것이라는 지적이 있다. 경기가 부진해 근원물가가 오르지 않는 상황에 금리를 인상하게 되면 가계의 소비에 부담을 주게 된다. 이는 물가에 하방압력이 가해지게 되고 경기 부진 심화로 이어질 수 있다.


김천구 연구위원도 "많아야 하반기 한 차례 정도 금리 인상이 예상된다. 올해 올리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고 보인다"며 "소득이나 소비 등에서 하반기에 수요측 근원물가 상승압력이 커질 가능성이 높지 않다.
근원물가 상승률이 낮으면 수요측 물가 상승압력이 낮다는 것이고 경제성장세가 둔화된다는 시그널"이라고 말했다.

coddy@fnnews.com 예병정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