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물가 6개월째 상승세, 이란제재 유가 더 오를 듯
2분기 소매 0.7% 증가 그쳐..고용·생산 부작용도 해결을
2분기 소매 0.7% 증가 그쳐..고용·생산 부작용도 해결을
국제 유가가 배럴당 70달러 선을 유지하면서 국내 소비 위축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오른 유가가 국내 소비를 위축시킬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되고 있어서다. 산업활동을 보면 투자와 생산 관련 지표가 마이너스 상장세로 진입한 상황에서 소비가 유일하게 플러스 성장 중이다. 지속된 고유가가 하반기 물가상승을 부추기게 되면 소비위축이 시작될 수 있다. 최근 투자와 생산이 부진한 데 이어 소비까지 위축되면 전반적인 산업활동이 침체에 빠질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이다.
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6월 수입물가지수(2010년=100, 원화기준)는 전달과 비교해 1.13포인트 상승한 88.26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 2014년 11월(91.23) 이후 최고치다. 수입물가지수는 올해 1월부터 6개월 연속 상승세다. 이는 올 들어 상승세를 보이는 국제유가 영향이다.
두바이유(기간말 기준)를 보면 지난해 12월 배럴당 63.77달러였던 것이 올해 1월 65.75달러로 올랐다. 이어 4월에 70달러를 돌파한 이후 지금까지 70달러 초중반대에서 등락 중이다.
올 하반기에도 고유가 흐름이 유지되면서 수입물가는 상승 흐름을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5월 이란 핵합의(JCPOA) 탈퇴를 공식 선언하고 지난 2015년 7월 해제됐던 대이란 경제제재를 복구할 것을 명령했다. 미국의 이란 제재는 국제 유가 상승세를 부추길 수 있다는 전망을 낳고 있다. 올 하반기에도 국제 유가가 하락하지 못하고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는 이유다. 국제 유가가 내려가지 않으면 우리 수입물가의 상승세는 계속될 것이다. 또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 상승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문제는 국내 소비심리 위축으로 이어질 가능성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기준 가격이 배럴당 70달러까지 상승하면 소비자물가는 0.37% 오른다고 예측했다. 물가가 오르면 소비자 부담이 커지면서 소비가 0.5% 준다고 분석했다.
성태윤 연세대 교수는 "최근 물가상승은 경기회복에 따른 수요회복보다는 국제 유가상승 및 국내 식료품 공급 이슈와 관련이 높다. 특히 필수적인 소비에 관계된 품목이어서 소비위축 요인이 될 수 있다"며 "소비위축은 경기를 더욱 악화시키는 방향으로 연결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실제 올 상반기 고유가로 수입물가가 상승세를 타는 과정에서 소비둔화 모습이 포착된 바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1·4분기 소매판매는 전월과 비교해 3% 늘어났다. 그러나 2·4분기 들어서는 전분기에 비해 0.7% 증가하는 데 그쳤다.
전문가들은 소비심리를 높일 수 있는 경기부양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다만 경기부양책이 고용이나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이승석 한국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정부 정책이 소득을 늘려 소비를 활성화시키는 정책인데 현재 소비진작 효과는 나타나지 않고 생산부문에 부작용이 나타나서 문제"라며 "소비는 우리 국내총생산(GDP)의 절반 정도를 차지할 정도로 규모가 크다. 따라서 작은 폭이라도 떨어지면 경제 전체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말했다.
coddy@fnnews.com 예병정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