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제주도, 하수처리난 총력 대응…시설관리공단 내년 설립

좌승훈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8.11.14 11:40

수정 2018.11.14 14:00

전성태 부지사 ‘맞춤형 종합 하수관리 체계 구축안’ 발표
하수관리 종합기획단 운영…상하수도 원단위 기준 통일
하수처리장 시설 용량 2025년까지 42만8000t까지 확대
제주도는 상하수도 원단위(상하수도 1일 사용량) 적용 일원화와 시설관리공단 등이 담긴 하수관리체계 구축안을 14일 발표했다.
제주도는 상하수도 원단위(상하수도 1일 사용량) 적용 일원화와 시설관리공단 등이 담긴 하수관리체계 구축안을 14일 발표했다.

[제주=좌승훈 기자] 제주신화역사공원의 하수역류 사태로 촉발된 제주지역 하수처리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제주특별자치도가 14일 상하수도 원 단위 적용 일원화와 시설관리공단 설립 등을 담은 종합대책을 내놨다.

전성태 행정부지사는 이날 오전 도청 기자실에서 ‘안정적인 하수처리를 위한 맞춤형 종합 하수관리체계 구축안’을 발표했다.

구축안에 따르면, 제주도는 우선 상하수도 원단위(상하수도 1일 사용량) 적용기준을 통일하고, 매년 말 인구추이와 급수공급량 등을 감안(±5%)해 원단위 보정 등 제도개선 방안을 시행한다.

이를 위해 관광지 등 단지형 개발사업은 수도 및 하수도정비기본계획, 개별건축물은 환경부의 건축물 용도별 기준을 적용한다.


또 하수처리계획 협의 시에는 계절별·시간대별 방류계획과 시설물 계획수립의 적정성을 검토키로 했다.

아울러 제주특별법 개정을 통해 중수도시설 확대(물 사용량 30% 이상 재이용시설 설치 의무화) 및 원인자부담금 부과 대상 강화 등을 추진한다.

오수발생량 10㎥/일 이상은 원인자 부담금을 징수하고, 처리장 및 하수관로 정비시 사용할 계획이다. 또 매년 원인자 부담금 단가를 조정할 예정이다.

이와함께 도내 8개 처리장 현재 시설용량 24만t을 오는 2025년까지 42만8000t 수준까지 확보하기 위해 국비 확보를 위한 중앙 절충을 강화한다.

도는 우선 지방비 170억원을 방류관 개선, 악취 저감시설과 노후 차집관로 보수 등 시급한 현안사업에 우선 투자키로 했다.

특히 하수유입량 증가에 대비하고, 유출사고 등에 신속 대응하기 위해 내년 9월까지 ‘시설관리공단’을 추진할 방침이다.

공단은 하수관리 등에 대한 전반적인 업무를 수행하게 된다.


도는 또 제주(도두)하수처리장 현대화사업의 정상화 및 조기추진을 위한 전담조직 및 추진단을 구성해 기존시설을 완전 지하화하는 현대화 사업을 추진한다.

아울러 처리장 증설과정에서 지역주민과의 상생 소통을 강화하고 주민, 행정,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가칭 '중재조정 자문단' 등을 설치해 주민지원 사업의 객관성을 확보해 나가기로 했다.


전성태 행정부지사는 “하수처리 안정화시점까지 하수관리 종합관리단을 운영해 나갈 계획”이라며 “내년 4개 관련 분야 예산에 지방비 170억원을 우선 반영해 총력을 기울여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jpen21@fnnews.com 좌승훈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