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정부, 다중이용시설 ESS 재진단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8.12.18 17:05

수정 2018.12.18 20:04

ESS(에너지저장장치)에서 잇따라 화재 발생하자
이미 정밀 안전진단 마친 곳에도 전문업체·소방청과 함께 재진단
정부는 민간 배터리업체가 이미 정밀 안전진단을 마쳤더라도 다중이용시설에 설치된 에너지저장장치(ESS)라면 다시 한번 '실증 테스트'를 실시키로 했다.

전날 또 다시 ESS에서 화재가 발생한 탓이다. 다행히 지금까지 인명피해는 없었지만, 혹시라도 발생할 수 있는 인명피해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서다. 이 테스트엔 전력변환장치(PCS) 업체와 소방청도 함께 참여키로 했다.

18일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에 따르면 정부는 오는 2월까지 오피스 빌딩, 병원, 상가, 대형마트 등 다중이용시설에 설치된 ESS에 대한 실증 테스트를 진행한다. 전국에 설치된 ESS 1253개 가운데 다중안전시설에 설치된 ESS는 약 300여개다. 혹여나 발생할 수 있는 화재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한 선제조치다.

앞서 정부는 지난 11월 28일부터 ESS 화재에 대한 긴급 안전 점검에 나섰다.
원인모를 ESS 화재가 16차례나 발생한 탓이다. 당시 정부는 ESS의 핵심부품인 배터리를 납품한 LG화학 등 업계 1142곳에 대한 점검을 맡기고, 관련 업계·전문가·유관기관 등으로 구성한 특별점검 태스크포스(TF)에 111곳을 맡겼다.

이 가운데 이미 정밀 안전진단을 실시한 ESS는 총 699곳이다. 아직 584개 ESS가 진단을 받지 않았다. 전날 화재가 발생한 충북 제천의 아세아시멘트 공장 ESS 역시 진단을 받지 않은 ESS 중 한 곳이었다. 다행히 다중이용시설이 아니었던 덕분에 인명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정부는 정밀 안전진단 진행과정에서 또 한번 원인모를 화재가 발생하자 안전진단 강도를 높이기로 했다.
앞서 ESS 핵심부품인 민간 배터리업체에 안전진단을 맡겼다는 비판이 존재한 만큼 적어도 다중이용시설 내 ESS만큼은 정부가 직접 실증 테스트를 거쳐 안전성을 확인한다는 설명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적어도 300개 다중이용시설에 국한해서는 정부가 실증 테스트를 진행키로 했다"며 "한국전력, LG, 삼성 나아가 PCS업체와 소방청까지 협의해 테스트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탓에 당초 내년 1월까지 신속하게 끝내려던 안전진단 일정도 늦어져 빨라야 2월에나 끝나게 될 것으로 보인다.

fact0514@fnnews.com 김용훈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