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치사율 100% ASF' 등 北 통해 유입 우려.. 말라리아 이어 가축 질병 남북 협력 수면위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9.02.10 10:26

수정 2019.02.10 10:26

#. 지난 1984년 이후 우리나라에서 발병하지 않았던 광견병이 1993년부터 북한 야생동물을 매개체로 경기·강원 북부지역에서 재발했고, 수도권 인근까지 번졌다.
북한을 통해 유입된 가축 전염병 확산의 대표적 사례다. 최근 북한과 접해있거나 가까이 위치한 랴오닝성, 지린성 등 중국내 3개 성에서 치사율 100%에 이르는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잇따라 발병하면서 북한을 통한 가축 질병의 국내 유입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이달 북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접경지역 말라리아 공동 방역사업이 급물살을 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가축 질병에 대한 남북 협력의 필요성도 수면위로 떠오르고 있다.

10일 관계부처와 더불어민주당 김현권 의원실에 따르면 최근 구제역과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기승을 부리는 가운데 매년 북한도 가축 질병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김재홍 서울대 수의대 교수는 유엔 식량농업기구(UN FAO)를 인용한 보고서에서 북한은 지난 2011년과 2014년 구제역 확산으로 국제기구의 지원을 요청했다고 설명했다. 2016년에도 구제역이 발병했다고 부연했다.

UN FAO는 북한을 2013년, 2014년, 2016년 AI 발병국으로 분류하고 있다. 하지만 북한의 구체적인 가축질병 발생 정보는 구할 수 없는 실정이다.

우리나라 야생 동물 건강과 축산업 보호를 위해 북한에 대한 가축질병 발생 정보 파악과 방역·검역 기술의 지원과 협력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실제, 북한과 접해 있는 중국에서 지난해 ASF로 인해 2600마리의 돼지가 죽었다. 러시아에서도 최근 3년간 ASF로 돼지 56만7812마리가 죽거나 살처분 당했다.

중국 농업부는 지난해 10월16일 북한 백두산 근처에 있는 중국 백산시의 야생 멧돼지 사체에서 ASF 바이러스를 분리한 사례도 있다.

검역 당국의 노력과는 무관하게, 북한의 야생 동물을 통해 국내로 전파될 수 있다는 얘기다.


김 의원은 "북한은 아직도 가축질병 발생 상황을 국제기구에 통보하지 않고 있어 ASF를 비롯해 구제역, AI 등 현지 가축전염병 발생 사정을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다"며 "북한과 가축방역에 대한 협력을 강화해 질병모니터링과 관리시스템 구축을 지원하고, ASF진단키트와 구제역 백신 등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ssuccu@fnnews.com 김서연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