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저임금 인상분이 반영되면서 정액급여 비중도 전국 최고 수준을 보여 이와 연동되는 기타 급여성 경비의 증가로 향후 기업의 인건비 부담도 한층 커질 전망이다.
부산상공회의소(회장 허용도)는 19일 고용노동부의 사업체노동력조사 자료를 토대로 한 '부산 상용근로자 임금 동향 및 구조분석'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부산의 상용근로자 5인 이상 사업체의 상용근로자 1인당 월 임금총액(2018년 4월 급여계산 기준)은 322만원으로 2017년 같은 시점보다 5.1% 증가했다. 이는 전국 평균 상승률 3.2%를 훌쩍 뛰어 넘는 전국 최고의 상승률이다.
이처럼 지역의 임금수준이 큰 폭으로 오른 데는 지역의 상용근로자가 서울을 포함한 주요 대도시 중 가장 많이 증가(최근 5년 연평균 4.6%) 한데다 지난해 최저 임금 인상분(16.4%)이 지역의 전 산업에 걸쳐 반영됐기 때문이다.
최저임금의 반영으로 정액급여와 초과급여, 특별급여로 구성되는 임금총액에서 차지하는 정액급여 비중도 86.4%로 전국 평균(83.4%)을 크게 상회했다. 전국 16개 시도와 비교해서도 제주(88.9%)를 제외하고는 가장 높은 수준이다.
정액급여의 증가는 이와 연동되는 기타 급여성 경비의 연쇄적인 증가로 이어져 향후 지역 기업의 인건비 부담이 크게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이를 증명하듯 지난해 부산의 상용근로자 정액급여는 2017년 대비 6.9% 증가한 데 반해 초과급여는 2.3% 감소했으며, 상여금, 성과급 등으로 구성되는 특별급여는 6.8%나 감소했다. 이러한 현상은 전국적으로 동일하게 나타나고 있는데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임금체계 변경의 과정으로 풀이된다.
반면, 전반적인 임금 인상에도 불구하고 다른 시·도와 비교한 부산의 상용근로자 임금수준은 여전히 낮았다.
전국의 상용근로자 1인당 월 총액임금(363만원) 대비 부산의 상대임금 수준은 88.7% 수준에 그쳤다. 전국 16개 시·도 가운데 12위에 머물렀다. 상용근로자 1인당 월 총액임금수준이 가장 높았던 지역은 울산으로 431만원이었다.
부산의 상용근로자 임금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이유는 지역경제를 선도할 만한 대기업의 부재와 납품단가 결정권이 없는 중소규모의 하청업체 비중이 높은 지역 기업의 구조적 취약성이 반영된 결과다.
부산의 산업별 임금수준은 금융보험업이 563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시설관리·사업지원서비스업이 215만원으로 가장 낮았다.
제조업 상용근로자 1인당 월 임금총액(309만원)을 기준(제조업=100)으로 한 부산의 산업별 상대임금수준은 금융보험업이 182.4로 가장 높았고 시설관리·사업지원서비스업이 69.7로 가장 낮았다. 제조업의 임금수준은 지역의 17개 대분류 산업 중 12위로 하위권에 머물렀다.
부산상의 관계자는 "임금 자료는 기업 경영의 중요한 지표가 될 뿐 아니라 지역 산업의 구조적 취약성을 반영하고 있는 만큼 임금 수준과 구조 개선을 위해 대기업 유치와 하청 납품이 많은 지역 제조업의 생산특성을 탈피하기 위한 노력이 무엇보다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지역경제의 뿌리를 약화시키고 있는 인구감소의 주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젊은 인재의 역외유출을 막고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 지역 중소기업의 고부가가치화와 더불어 4차 산업혁명에 부합하는 지식서비스산업 육성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roh12340@fnnews.com 노주섭 강수련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