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에너지차·스마트교통·환경 분야 등서 中과 보완적 협력 필요"
중국 정부가 인공지능(AI)·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핵심으로 산업정책을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다. 경합관계에 있는 우리나라도 특화한 신산업을 발굴, 연구개발을 시급히 확대하는 동시에 경쟁력 우위 전략 및 대(對)중국 산업협력 보완 방안을 찾아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28일 산업연구원(KIET)은 '2019년 중국 양회, 산업정책의 핵심 키워드는 4차 산업혁명' 보고서에서 "중국은 AI,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 기반기술은 물론, 신산업 분야에서 앞서가고 있다"며 이같이 제언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은 2019년 주요 정책을 결정하는 양대 회의인 '양회'에서 산업정책 기조를 4차 산업혁명에 초점을 뒀다. 중국은 미·중 통상 분쟁을 우려해 '중국제조 2025'에 대한 언급은 없었지만,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주도하기 위한 관련 기술 혁신과 '스마트 플러스'를 통한 제조업 구조고도화, 신산업 육성 강화 등을 제시했다.
다시말해 AI, 빅데이터, 5G 등 4차 산업혁명 기반기술을 활용한 산업인터넷(IIoT) 플랫폼을 구축해 기존 제조업을 고도화한다는 전략이다. 또 이를 활용한 차세대 IT, 첨단장비, 제약·바이오, 신소재, 신에너지자동차 등의 신흥 산업군을 키우겠다는 정책이다.
조은교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중국의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혁신 및 산업정책, 내수 활성화 정책 등은 우리에게 위기와 기회를 동시에 주고 있다. 우리는 소비촉진 정책, 환경산업 육성, 지역혁신 전략 추진 등 시장수요 확대가 예상되는 분야의 양국 간 산업협력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중국의 '제조강국' 산업정책은 '스마트플러스 정책을 통한 제조업 고도화' '신흥산업 발전 가속화'를 비롯해 △과학기술 연구개발 강화를 통한 기술혁신 △소비 및 인프라 투자 확대를 통한 내수 부양 △도시화의 질적 수준 제고 및 지역혁신 발전 추진 △환경오염 예방 강화 및 친환경 산업 육성 △전방위적 대외개방 정책 확대 등으로 요약된다.
이에 대해 조 연구위원은 "특히 올해는 중국정부 업무보고에 '수소에너지 설비 및 충전소 건설 추진'을 새로 포함시켜 수소산업 육성 의지를 표명했다. 중국 정부의 지원책 강화로 향후 우리와의 '수소산업' 경쟁이 심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처럼 중국이 추구하는 4차 산업혁명 기반 기술 분야는 상당부분 우리와 경합할 수 밖에 없다. 이에 우리는 중국의 신산업분야 성장을 신시장 투자 기회로 활용하면서 보완적 산업협력을 모색해야 한다는 게 산업연구원의 제언이다.
조 연구위원은 "중국은 자동차 및 가전 보조금 정책으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가 경쟁력을 보유한 프리미엄 IoT 가전 등의 대중국 수출 전략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또 중국내 수요가 확대되고 상호 보완적 협력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되는 신에너지차, 스마트교통, 환경 분야 등에서 보완적 협력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skjung@fnnews.com 정상균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