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일본 간 홍 부총리, 현안 쌓인 일본과는 만나지도 않았다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9.06.09 17:36

수정 2019.06.09 17:36

G20 재무장관 회의 참석.. 므누신·라가르드와 양자면담
통상·외환정책 등 의견 나눴지만 아소 다로 재무상과는 회담 없어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왼쪽)이 지난 8일(현지시간) 일본 후쿠오카 힐튼시호크호텔에서 스티븐 므누신 미국 재무장관과 만나 기념촬영하고 있다. 홍 부총리는 지난 8∼9일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 회의 참석차 일본을 방문했다. 기획재정부 제공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왼쪽)이 지난 8일(현지시간) 일본 후쿠오카 힐튼시호크호텔에서 스티븐 므누신 미국 재무장관과 만나 기념촬영하고 있다. 홍 부총리는 지난 8∼9일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 회의 참석차 일본을 방문했다. 기획재정부 제공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했지만 한·일 양국 현안에 대해선 어떤 논의도 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일본측 파트너인 아소 다로 부총리 겸 재무상과 양자 회담도 없었다.

이번 회의가 이달 말 예정된 G20 정상회의에 앞서 주요 이슈들을 사전 논의하기 위한 취지이고 일정이 짧다는 점, 한·일 관계에 외교적 접근이 우선시된다는 점 등을 감안해도 경색된 한·일 관계에 대한 정부 내 인식이 너무 안일하지 않은가 하는 의문이 제기된다.

한·일 양국은 현재 정치·경제적으로 팽팽한 대립 관계를 풀지 못하고 있으며 전문가들은 G20회의 등을 계기로 갈등을 풀어야 한다는 조언을 내놓고 있다.

9일 기재부에 따르면 홍 부총리는 8~9일 일본 후쿠오카에서 개최된 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지난 7일 출국했다.
홍 부총리는 이날(9일) 일정이 마무리되면 곧바로 귀국할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 홍 부총리가 취임 후 처음 일본으로 향하면서 꽉 막힌 한·일 관계를 풀 수 있는 단초가 될 수 있을지 주목됐다.

하지만 홍 부총리는 스티븐 므누신 미국 재무장관, 크리스틴 라가르드 국제통화기금(IMF) 총재와 별도의 양자회담은 개최했지만 일본측과는 이런 자리를 만들지 않았다.

기재부 관계자는 "짧은 일정상 라가르드 IMF 총재와 므누신 미국 재무장관과의 양자면담만 있었다"고 말했다.

다른 기재부 관계자도 "정확한 배경은 알 수 없지만 일본과는 논의나 양자회담이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나 한·일 양국 사이엔 현재 일본 강제징용 배상문제를 비롯해 한·일 어업협정, 위안부 문제, 일본산 식품의 한국 수입금지 분쟁, 북한 비핵화 과정에서 일본 패싱 논란, 일본 초계기 갈등, 일본의 한국발 미세먼지 주장 등 풀어야 할 현안이 산적해 있다.

대신 홍 부총리는 짧은 일정이지만 므누신 미국 재무장관과 양자회담을 갖고 통상·외환정책 등 양국 간 경제현안에 대해 협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라가르드 IMF 총재와 만나선 세계경제 리스크 요인과 한국경제 정책방향 등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홍 부총리는 G20 공식일정에선 고령화가 야기하는 도전과제와 기회요인을 균형 있게 볼 것을 강조하고 주요국 무역갈등 등 세계경제 하방위험 대응을 위한 G20 정책공조방향을 제언했다.

반면 한·일 양국관계 컨트롤이 청와대로 넘어간 이상 홍 부총리가 섣불리 나설 수 없었을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외교부 등 정식 루트를 통해 청와대에서 의견을 교환하고 있는데, 자칫 한·일 외교에 혼선을 줄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일본 입장에선 G20 정상회의가 얼마 남지 않은 상황에서 개별국가와 양자회담을 가질 여유가 없을 것이라는 견해 역시 나온다.


양기호 성공회대학교 교수는 "이달 초 외교부 국장급 협의가 있었지만 입장 차이만 확인했는데, 현재 부총리가 나설 시스템이 안 되어 있는 것"이라며 "외교부나 청와대 등 정식 루트를 통하지 않으면 혼선이 있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한편 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에 이어 G20 정상회의는 오는 28~29일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다.
G20 정상회의에선 중국, 일본 등 주요국 정상 간의 연쇄 정상회담이 열릴 것으로 예상된다.

jjw@fnnews.com 정지우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