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사설

[fn사설] 제조업 경기 급랭, 가용수단 총동원해야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9.07.15 17:27

수정 2019.07.15 17:27

제조업 경기가 얼어붙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3·4분기 경기전망지수(BSI)가 전분기 대비 14포인트(87→73) 하락했다고 15일 밝혔다. 전국 2300여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다.

BSI는 기업인들이 보는 경기전망이다. 분기별 BSI가 한 번에 14포인트나 떨어진 것은 드문 일이다.
그만큼 기업인들은 향후 경기전망을 어둡게 본다는 뜻이다. 이런 흐름은 정부출연 연구기관인 산업연구원 조사에서도 확인됐다. 1050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3·4분기 시황 BSI가 전분기보다 8포인트(98→90) 하락했다. 정부 예상과는 반대로 기업들은 하반기로 갈수록 경기하강 속도가 더 빨라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경기악화 요인은 수출과 내수의 동반부진이다. 수출이 지난해 12월 이후 7개월 연속 감소하면서 수출 주력업종의 체감경기가 급랭했다. 자동차부품(61), 철강(64), 전기장비(66), 기계(73), 석유화학(75) 업종의 BSI가 바닥 수준으로 떨어졌다. 미·중 무역갈등 장기화가 경기하강 폭을 키웠다. 여기에 최근 일본의 한국에 대한 반도체 소재 수출규제까지 더해졌다.

내수부진도 심각하다. 기업들은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국내외 경기둔화에 따른 매출부진'(54.3%)을 꼽았다. '임금상승 등 비용 증가'(27.9%)보다도 비율이 훨씬 높았다. 매출부진으로 재고가 쌓이면서 노는 공장이 늘어나고 자금압박에도 시달리고 있다. 전형적 장기불황 조짐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5월의 제조업 재고율(118.5%)은 외환위기 때인 1998년 9월(122.9%) 이후 가장 높았다.

정부는 "하반기에 성장률이 2%대 중·후반을 회복할 것"이라고 밝혀왔다. 그러나 지금은 낙관론을 펼 때가 아니다. 여러 객관적 지표들을 종합하면 하반기 경기는 글로벌 금융위기 때와 비슷한 심각한 불황을 예고하고 있다.
정부는 불황 타개를 위해 사용 가능한 정책수단을 총동원해야 한다.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내리고, 국회는 추경을 속히 처리해야 한다.
적기 대응 타이밍을 놓치지 않아야 한다.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