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수출규제 ‘민관정 2차 회의’
"소재부품특별법·조세특례제한법.. 국회와 협조 조속히 개정 되도록"
‘규제완화’ 산업·노동계 신경전도
"소재부품특별법·조세특례제한법.. 국회와 협조 조속히 개정 되도록"
‘규제완화’ 산업·노동계 신경전도
다만, 규제완화 등 구체적인 대응방안을 놓고 산업계와 노동계가 이견을 드러내기도 했다. 최근 정부와 여당에서도 규제완화 움직임에 나서는 가운데 노동계가 급제동을 걸며 관련 논의가 차질을 빚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을 전망이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회의 후 브리핑에서 "정부가 소재부품 관련 예산 규모를 순증 1조원 이상 반영하겠다고 했는데, 기재부 장관으로서 말씀드리면 2조원 이상 반영할 생각도 있다"고 밝혔다.
그는 "소재부품장비특별법이 한시법인데 이 법을 일반법으로 만드는 것과 조세특례제한법을 개정하는 것은 아직 국회와 얘기된 것은 아니지만, 정부에서 발표했기 때문에 국회와 협조해 관련법이 조속히 이뤄질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또 화평법(화학물질등록평가법)과 화관법(화학물질관리법), 주 52시간제 등의 완화 가능성에 대해선 "근본 틀을 흔들지 않고, 이번 대응조치와 관련해 꼭 필요한 기업에 맞춤형으로 절차상 편의를 제공할 것"이라고 답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규제완화를 두고 산업계와 노동계간 신경전이 벌어지기도 했다.
당초 이날 회의는 홍 부총리와 김영주 한국무역협회장의 모두발언 이후 비공개로 전환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홍 부총리와 김영주 회장의 발언이 끝난 직후 김주영 위원장은 예정에 없던 모두발언을 신청하고 규제완화에 무게를 둔 정부와 여당, 산업계를 향한 우려를 나타냈다.
김 위원장은 "이번 기회를 맞아 경영계 일부에서는 규제완화를 핑계로 근로시간 및 산업안전 관련 노동자 보호장치를 일부 해제해달라고 요구하고 있다"며 "기업 비용 절감을 위해 노동기본권, 생명권, 안전하게 살 권리를 훼손한다고 해서 이번 경제위기가 극복되지는 않는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정부 대응이 노동기본권 훼손과 노동자 희생을 강요하는 방향으로 간다면 한국사회는 더 큰 혼란과 분열의 소용돌이에 휘말릴 것"이라고 경고하기도 했다.
김 위원장의 발언이 끝나자 손경식 회장도 모두발언을 신청해 규제완화 시급성을 강조하고 나섰다.
그는 "연구개발(R&D) 및 기술 부문에서 일본보다 앞서기 위해서는 근로시간 유연성, 환경규제 등 기업들의 활동 여건이 최소한 우리나라가 일본보다 불리하지 않도록 법적·행정적 지원이 필요하다"면서 "모든 기술을 단기간 내 개발할 수 없고, 생산성·효율성·가격에 기반한 국제적 분업 원리에서 볼 때 현실적 한계가 있다"고 토로했다.
mkchang@fnnews.com 장민권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