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마스크 쓰지 말자" 中 무력 경고에 평화로 맞선 홍콩 시위대 [혼돈의 홍콩]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9.08.18 17:46

수정 2019.08.18 17:46

11주째 이어온 주말집회 중 참가 인원 역대 최대 추산
'평화' 내걸고 게릴라 시위 자제..中 전인대 "美내정간섭 말라" 경고
'범죄인 인도 법안' 반대 대규모 집회가 벌어진 18일 홍콩 도심에서 한 시위대가 '우리는 타깃이 아니다'라고 적힌 피켓을 들고 있다. 이들은 앞선 시위에서 경찰이 쏜 빈백건에 맞아 실명 위기에 처한 여성에 대한 연대를 보여주기 위해 안대를 쓰고 있다. AP뉴시스
'범죄인 인도 법안' 반대 대규모 집회가 벌어진 18일 홍콩 도심에서 한 시위대가 '우리는 타깃이 아니다'라고 적힌 피켓을 들고 있다. 이들은 앞선 시위에서 경찰이 쏜 빈백건에 맞아 실명 위기에 처한 여성에 대한 연대를 보여주기 위해 안대를 쓰고 있다. AP뉴시스
【 베이징=조창원 특파원】 홍콩의 '범죄인 인도 법안'(일명 송환법) 반대 시위대가 18일 대규모 집회를 열며 대정부 강공 움직임인 가운데 중국 인민해방군 산하 무장경찰은 홍콩 경계에서 10분 거리까지 전진배치, 강대강 대치국면으로 치닫고 있다. 중국의 의회 격인 전국인민대표대회가 홍콩은 내정 문제라며 미국에 강력 경고하면서 중국 정부가 무력진압에 나서기 위한 최후통첩에 나섰다는 전망도 나온다.

■무력 압박에도 대규모 집회 강행

18일 홍콩 시위는 이전과 다른 두 가지 양상을 보였다. 규모 면에선 주최측 추산으로 최대 200만명 시위 참가자가 모인 이후 몇 주 만에 대규모 집회가 열렸다는 점이다. 대규모 인원이 모이는 가운데 집회 방식은 홍콩 경찰과 최대한 물리적 충돌을 피하며 평화시위를 기획했다는 점이다.
우선, 이날 대규모 집회가 열린 건 최근까지 홍콩 경찰의 무리한 물리적 진압과 무장경찰 투입을 예고하는 중국 중앙정부의 거센 압박에 홍콩 시위대의 반발이 더욱 거세졌다는 점을 반영한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에 따르면 '반(反)송환법' 시위를 주도해온 민간인권전선이 이날 오후 빅토리아공원에서 집회를 열었다.

이날 집회는 지난주 홍콩 시위대가 홍콩국제공항 점거농성을 벌이면서 도시 마비가 발생하는 타격전을 펼친 이후 처음 열린 대규모 집회다. 홍콩 시위가 11주째로 장기화되는 가운데 시위대의 요구사항이 중국 정부의 엄격한 법집행 및 무력투입 입장과 충돌하면서 이날 시위 규모도 덩달아 커진 것으로 보인다. 이날 대규모 집회가 열리기 전 일각에서는 최소 100만명 최대 300만명이 참가할 것으로 전망해왔다. 반송환법 시위 초기인 지난 6월 9일 시위 주최측 추산으로 100만명의 홍콩 시민이 참여한 바 있으며 같은 달 16일에는 200만명이 참여한 것으로 전해졌다.

모처럼 집회 규모가 커졌으나 시위 방식은 최근 게릴라식 타격 등 물리적 충돌을 최소화하기 위한 평화적 집회를 추구한 점도 주목된다. 지난주 시위대의 공항점거에 따른 항공대란과 홍콩 도시 전 지역의 교통대란과 쇼핑몰 상가의 매출급락이 이어진 바 있다. 이어 매일 시위대의 게릴라식 전술과 홍콩 경찰의 물리적 대응이 충돌하는 양상을 빚어왔다. 홍콩 시민들의 호응을 얻기 어려운 데다 중국 정부의 무장병력 투입 가능성이 높다는 점 때문에 이날 주말 대규모 집회는 '평화'를 내세웠다는 관측이다.

■'친중·반중' 충돌 등 갈등 산적

홍콩 정국이 안정을 되찾기엔 극단적 갈등이 곳곳에 퍼져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18일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에 따르면 전인대 외사위원회 대변인은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 등 일부 미국 의원이 홍콩 시위대를 두둔하는 것에 "이들은 홍콩 경찰의 법 집행을 폭력적인 진압으로 왜곡하는데 이는 법치정신에 반하는 노골적인 이중잣대로 중국 내정에 대한 난폭한 간섭이다"라며 미국을 맹비난했다. 그는 또 "홍콩의 번영과 안정은 홍콩 시민을 포함한 전체 중국 인민의 의지로 극소수 강력범죄자들이 움직일 수 없으며 어떠한 외부세력의 간섭으로도 바꿀 수 없다"고 지적했다.
중국 최고 전·현직 지도자들이 모이는 베이다이허 회의가 끝난 데다 이날 대규모 집회 개최를 앞두고 전인대의 이 같은 경고성 입장이 나오자 중국 정부가 사태악화 시 무력진압에 나서기 위한 최후통첩을 한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jjack3@fnnews.com 조창원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