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진그룹 27일 '운명의 날' … 긴장감 고조
오는 27일 한진칼 주총 열려
최대 이슈는 사내 이사 선임건
현재 조회장 지분이 약간 앞서
국민연금·소액주주 표심 관심
오는 27일 한진칼 주총 열려
최대 이슈는 사내 이사 선임건
현재 조회장 지분이 약간 앞서
국민연금·소액주주 표심 관심
양측 어느 누구도 확실한 표대결 우위를 자신하지 못하면서 캐스팅보트를 쥔 기관투자자 및 소액주주들을 향한 구애전이 뜨겁다.
양측은 경영실적, 투명성, 투자의 안정성 등 여러 분야에서 공방전을 펼치고 있지만 핵심이슈는 경영능력으로 집약된다. 하지만 정작 기관 및 소액주주들의 표심은 역사상 최대 위기에 직면한 항공업과 대한항공을 안정시킬 수 있는 경영의 안정성에 집중할 가능성이 크다. 코로나19에 따른 항공산업의 위기가 한진그룹의 경영권 향배에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는 셈이다.
■조원태-3자연합 지분율 격차는?
23일 한진그룹 지주회사인 한진칼에 따르면 이 회사는 오는 27일 서울시 중구 한진빌딩에서 주총을 연다. 주총에선 감사보고, 영업보고, 최대주주 등과의 거래내역 보고 등에 이어 재무제표 승인건, 사외이사 선임건, 사내이사 선임건, 이사 보수한도 승인건, 정관 일부 변경의 건 등을 의결하게 된다.
최대 이슈는 경영권을 쥐고 있는 조원태 회장을 비롯한 사내 이사 선임건이다. 조현아 전 대한항공 부사장, 사모펀드 KCGI, 반도건설 등 3자 연합 등이 조 회장 퇴진을 요구하고 있다. 반면 조 회장을 비롯한 한진그룹 내부에선 노조와 전직임원회 등까지 조 회장 연임을 위해 발 벗고 나선 상태다.
현재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조 회장 측(33.44%)과 3자 연합(31.98%)측 지분율 격차는 1.46%포인트(p)에 불과하다. 조 회장 측 지분 33.44%는 델타항공(10.00%)은 물론 앞서 '중립'을 선언했다 입장을 바꿔 다시 조 회장 측에 서기로 한 카카오(1.00%)까지 합친 것이다. 재계에선 GS칼텍스 지분 0.25%도 추가될 것으로 본다.
여기에 대한항공 자가보험(2.47%)과 사우회(1.23%)가 어느 편에 서는 지도 관건이다. 자가보험은 의결권 행사를 투표로 결정키로 하고 지난 20일 투표를 마쳤다. 사우회도 이날(23일)까지 투표를 마무리한다. 투표 결과는 '비공개'다. 그룹 내부에서 조 회장 지키기 여론이 높은 만큼 대다수가 조 회장 측에 설 것으로 보고 있다. 이를 감안하면 조 회장은 총 37.40%가량의 지분을 확보한 상태다. 31.98%의 지분을 확보한 3자 연합 측보다 5%포인트 앞서고 있지만 현재로선 승패를 단정하긴 힘들다.
■"위기 속 경영 안정 필수"
가처분 소송이라는 변수 때문이다. 앞서 3자 연합 측은 지난 12일 조 회장의 우군으로 평가되는 대한항공 자가보험 및 사우회와 관련, "총수의 영향력 안에 있는 지분이므로 특수관계인이지만 제대로 보고되지 않았다"면서 의결권을 제한해 달라는 가처분 신청을 냈다. 결과에 따라 조 회장은 적잖은 우호지분을 상실할 수도 있다.
반면 3자 연합도 반도건설 지분 3.20%를 잃을 수도 있다. 한진그룹은 반도건설이 경영참여 목적을 갖고 있었음에도 '단순투자'로 초기 허위공시를 낸 만큼 주식처분명령을 내려달라며 금융감독원에 조사를 요청한 상태다. 반도 측도 이에 앞서 해당 지분에 대해 자사의 의결권 행사를 허용해 달라는 가처분 신청을 낸 상태다. 이 두 건의 가처분 신청 결과는 늦어도 24일엔 발표될 것으로 예상된다.
가처분 신청 결과와 더불어 한진칼 지분 2.9%를 보유 중인 것으로 알려진 국민연금과 그 밖에 소액주주들이 어떤 판단을 하느냐도 중요한 변수다.
이와 관련, 국민연금이 의결권 자문을 받고 있는 자문사 2곳(ISS·한국기업지배구조원) 모두 조 회장의 연임안에 찬성 표결을 권고한 상태다. 표결이 사흘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업계에서는 캐스팅보트를 쥔 기관 및 소액주주들이 코로나19로 항공업계가 최악의 위기에 직면한 현 상황에서 안정적인 경영을 필요로 할 것이라는 얘기가 나온다.
업계 관계자들은 "대한항공은 민간기업이지만 항공물류업 특성상 국가 기간산업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며 "특히 지금같은 위기에선 오랜 경험과 네트워크를 보유한 전문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fact0514@fnnews.com 김용훈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