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교육일반

숭실대 정재현·김윤곤 교수팀, 맞춤형 치료 화장품 시대 연다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0.05.07 11:11

수정 2020.05.07 11:11

 2020년도 피부과학 응용소재 선도기술 개발사업에 선정
왼쪽부터 정재현, 김윤곤 교수. 숭실대학교 제공
왼쪽부터 정재현, 김윤곤 교수. 숭실대학교 제공


[파이낸셜뉴스] 숭실대학교는 화학공학과 정재현, 김윤곤 교수팀이 보건복지부 주관 2020년도 피부과학 응용소재 선도기술 개발사업 중 '동물실험 대체 효능평가 기술' 분야에 최종 선정돼 3년 간 총 12억원의 연구비를 지원받게 됐다고 7일 밝혔다.

이 사업은 바이오헬스 분야 혁신성장 계획의 일환으로 △친환경 지속가능 국산 소재 개발 △피부과학 응용연구 △신제형 기술 개발 △시장 다변화 대응 기술개발 △동물실험 대체 효능평가 기술 등 5개 피부과학 핵심 분야의 응용소재 선도기술을 개발하는 혁신 사업으로 진행된다.

연구책임자인 숭실대 정재현 교수는 동물실험을 대체해 효능평가 기술에 사용할 전층배양피부(피부세포와 피부구성 물질을 조직공학기술을 이용하여 재조합한 살아있는 전층 피부모사체)를 연령대별(10대, 30대, 50대)로 설계해 세계 최초 연령별 인공피부를 제안했다.
김윤곤 교수와 협력해, 연령별 인공피부를 활용한 맞춤형 마이크로바이옴 코스메슈티컬(피부 미생물을 활용한 치료 화장품) 효능 평가기술로 개발할 예정이다. 또 원천기술 확보는 물론 동물실험 대체 평가법 인증을 통한 국내외 사업화까지 목표로 하고 있다.


정재현 교수는 "전 세계적으로 동물실험이 금지 추세에 있는 지금, 연령별 인공피부를 활용한 효능 평가기술은 사용자 맞춤형 치료 화장품 시장을 선도할 핵심기술로 평가받았다"며 "(주)아이큐어, 사라스킨 등과 협력연구를 통해 세계시장을 선도할 창업 및 사업화로 이어지리라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hoya0222@fnnews.com 김동호 기자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

fnSurvey

반도체 산업, 주52근무제 예외되나?

반도체 산업의 경쟁력을 키우기 위한 '반도체특별법'에는 반도체 업종에 한해 주 52시간 근무제를 예외로 하자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제 집단마다 의견이 갈려 아직까지 반도체특별법이 국회를 통과하지 못하고 있는데요. 경영계에서는 근무 시간 규제를 없애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노동계에서는 이를 반대하는 입장입니다. 그렇다면 여러분은 주 52시간 근무제에서 반도체 산업을 예외로 규정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투표기간 : 2025-02-11 ~ 2025-02-25 투표하러 가기

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