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프호이즐러의 열전도도 3배 줄여 성능 향상 기대

[파이낸셜뉴스] 국내 연구진이 열을 전기로 만드는 하프호이즐러 열전재료를 만드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했다. 연구진은 이 방법을 이용한 결과 기존방법 대비 열 전도도가 3배 이상 감소해 열전 성능을 끌어올릴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신소재공학과 최벽파 교수팀이 경북대 이승훈 교수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준 안정상을 활용해 하프호이즐러 화합물의 나노구조를 제어하는 새 방법을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연구진은 이 방법이 기존 방법과는 달리 고온에서의 장시간 열처리가 필요 없으므로 쉽고 경제적이면서도 더욱 복잡하고 세밀한 나노구조의 형성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열전 소자는 소자의 양단에 온도 차를 이용해 전기가 발생한다.
다양한 열전재료 중 하나인 하프호이즐러 물질은 300~800℃의 중온 영역에서 높은 효율의 열전발전이 가능하다. 특히 열 안정성과 강도가 우수하고 높은 제벡 계수와 출력 계수를 지니고 있다. 더군다나 독성이 없고 지구에 풍부하게 매장된 원소로 이뤄져 있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높은 열전도도로 낮은 열전성능을 갖는다는 점이 약점이다.
열 전도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포논(입자)의 산란을 극대화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서로 다른 상의 경계를 만든 후 나노 결정화를 통해 달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기존에는 하프호이즐러 합금을 제조한 뒤 물리적으로 파쇄해 나노분말을 제조하고 이를 가열해 굳히는 방법을 사용해왔다. 하지만 이 방법은 나노결정의 크기 제어는 물론 복잡한 미세구조 형성이 어렵기 때문에 열전도도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키기는 매우 어렵다.
연구진은 준 안정상(비정질)의 결정화 방법을 활용했다. 준 안정상은 덜 안정한 상을 의미하는데 열처리를 통해 고체, 액체, 기체 등의 안정상으로 쉽게 상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이때, 열처리 온도에 따라 준 안정상의 결정화 움직임은 다양하게 변화하고 이를 이용해 나노결정의 크기와 상을 제어할 수 있다.
연구진은 급속냉각 공정을 이용해 하프호이즐러 조성을 가진 비정질을 제조한 뒤 비교적 저온에서 짧은 열처리를 통해 하프호이즐러 물질 내부에 풀호이즐러 나노 석출물이 존재하는 복잡한 나노구조를 만들었다.연구팀진 특히 이번 연구에서 3차원 원자 탐침 현미경과 투과 전자 현미경을 활용했는데 하프호이즐러 물질 내부에 존재하는 수 나노미터의 풀호이즐러 석출물의 존재를 밝혀내는 데도 성공했다.
이번 연구는 KAIST 신소재공학과 정찬원 박사과정이 제1 저자로 참여해 국제학술지인 '나노 에너지' 10월 20일자 온라인 판에 실렸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