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칼럼 fn광장

[fn광장] 플랫폼 경제와 생태계 경제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0.12.10 18:00

수정 2020.12.10 18:00

[fn광장] 플랫폼 경제와 생태계 경제
경제학에서 배운 시장은 수요자와 공급자가 특정 상품을 구매하고 판매하는 장소를 칭했다. 마트에서 과자를 사고파는 '단면시장'이 통상의 시장이었다. 매개 장소 혹은 사이트의 대명사 온라인 플랫폼에서처럼 서로 다른 제품이나 서비스를 향유하는 가상공간이 등장했고, 시장의 개념이 확대됐다. 서로 다른 집단이 참여하는 플랫폼(양면시장)을 중심으로 많은 수요자, 공급자, 개발자, 단말기 제공업체, 통신사가 모여든다. 각자 다른 목적으로 경제행위를 하며 긍정적·부정적 네트워크 효과를 창출한다. 2010년부터 플랫폼 비즈니스가 등장하며 시장의 개념은 그렇게 달라졌고 확대됐으나 법과 제도가 이를 충분히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플랫폼은 부가가치가 생성되는 과정을 의미하는 '가치사슬(Value Chain)' 단계를 줄여 효율성을 지상 과제로 추구한다. 플랫폼 시장 진입장벽에 있어서는 기업의 대규모 투자보다는 소비자 네트워크의 힘이 더 중요하다.
고객이 만족하는 콘텐츠를 개발해 네트워크에서 고객이 떠나지 못하도록 하는 잠금 효과를 중시하는 이유다.

세계적으로 구글, 애플, 아마존 심지어 테슬라까지 이런 공감 플랫폼 기업을 지향한다. 이들 기업은 하나같이 적은 비용으로 높은 수익을 내는 효율적인 회사를 목표로 장기 주가가 지수함수를 그리고 있다. 이들의 성공에는 고객의 구미에 맞는 콘텐츠 개발로 성공적인 플랫폼 전략을 구사한 게 작용했다. 세계 고객이 플랫폼 기업에 부지불식간에 몰리는 가운데 우리는 플랫폼 경제가 주는 사용자 편리, 서비스 다양성이라는 '명(明)' 외에 모바일의 숙명적인 '암(暗)'과 마주하고 있다. 구글세, 개인정보 침해, 배달서비스 외주화, 고용보험 없는 플랫폼 노동자 같은 이슈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 20개국(G20)에서 논의된 지도 꽤 오랜 시간이 흘렀다. 자신들의 높은 시장점유율과 네티즌에게 영향력이 강하다는 사실로 광고를 끌어들여 이윤을 창출하며 콧노래를 부르고 있는 모습은 흔히 마주하는 플랫폼 기업의 양상이다. 전통적 시장에서는 규모가 큰 기업이 한계비용보다 낮은 가격을 책정해 다른 기업에 손해를 입혀 내쫓는다. 이 원리를 플랫폼 시장에서도 적용할 수 있을까. 플랫폼 시장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가격은 비용이 너무 낮거나 무료다. 심지어는 보조금 지급으로 마이너스 가격도 가능하다. 네트워크 효과로 이득을 취할 수 있기 때문에 그런 가격 형성이 가능하다. 그래서 정부가 시장지배자의 우월적 행위를 규제할 때 획일성보다 시장의 다양한 특성을 감안한 차별화된 정책을 펴야 한다. 다행히 경제의 패러다임이 플랫폼으로 대별되는 네트워크 경제에서 생태계 경제(Economy of Ecosystem)로 변화하고 있다.

글로벌 기업의 경쟁은 더 이상 개별 기업 간 경쟁이 아닌 협력사를 포함한 기업 생태계 간 경쟁으로 펼쳐지고 있다.
대기업 간, 대·중소기업 간, 노사 간, 고객 간, 산학연 간 협업과 경쟁이 잘 조화된 상생의 생태계 구축이 경쟁력 구축의 해답이다.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해 생태계 경제가 창출할 전 지구적 공동재(Common Goods)에 시선이 집중되고 있어 플랫폼 기업은 공공재 생산에 기여하는 환경을 갖춰야 할 것이다.
최근 벌어지고 있는 구글의 인앱 논란(결제 수수료 인상), 페이스북 개인정보 침해 이슈도 같은 맥락에서 바라봐야 한다.

조원경 울산시 경제부시장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