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택근무 확산에 디지털 전환 서둘러
정부 ‘디지털청’ 설립 등 개혁 추진
로봇·전자산업 강점 활용 재편 속도
정부 ‘디지털청’ 설립 등 개혁 추진
로봇·전자산업 강점 활용 재편 속도
일본의 이케아로 불리는 니토리 온라인사이트. 20만원 조금 넘는 원목책상 주문란에 '60일 후 제공'이란 문구가 뜬다. 재택근무 확산으로 책상과 의자 수요가 증가하더니, 인기 상품은 구입에서 배달까지 많은 인내심을 요한다. 일본 사회에 불고 있는 재택근무 열풍의 단면이다.
이 재택근무의 연장선에 있는 화두는 단연 '디지털화'다. 일본 사회가 코로나19 충격에서 뽑아올린 제1의 과제이기도 하다. 화제의 드라마 한자와 나오키의 실존 인물설로 세간의 이목을 끈 미쓰비시UFJ 한자와 준이치 차기 행장은 최근 "디지털 전환을 통한 성장"을 역설했다.
■'60초 행정' 전에 없는 속도로 진행
이미 일본 사회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더 이상 아날로그 방식에 머물 수 없다는 점을 뼈저리게 자각한 듯하다. 재택근무를 하라면서 회사에 나와 출근도장을 찍으라는 것이나, 재난지원금 신청부터 급부까지 한 달여가 걸리는 느린 행정은 디지털 후진국 일본의 현주소를 만천하에 드러내기에 충분했다. 충격요법은 상당기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60초 행정.' 현재 일본 정부가 목표로 하고 있는 디지털 행정의 구호다. '탈도장'에 이은 두번째 목표인 셈이다. 스마트폰으로 각종 급부금 신청 등을 60초 내에 완료한다는 것이다. 일본 정부는 지난해 12월 25일 '디지털 사회 실현을 위한 개혁'을 위한 기본방침을 발표했다.
오는 9월 일본 정부는 '디지털청'을 설립하고, 한국식 주민등록번호제인 '마이넘버'(현재 보급률 24%, 지난해 12월 23일 기준)를 2023년까지 전 국민으로 확대하고, 이를 통해 각종 급부금 지급도 온라인과 스마트폰으로 신청 가능하도록 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일본 경제부처의 한 간부는 최근 아사히신문에 "전에 없는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로봇들의 등장과 온라인화 가속
민간은 생존을 위해 이미 빠르게 비대면 경제로 이행하고 있다. "15번 테이블 손님 음식 가지고 왔습니다." 한국 경기도 분당 정도로 불리는 도쿄의 후타고타마가와의 한 레스토랑에서는 100석 규모의 매장을 접객로봇 2대가 쉴 새 없이 돌아다닌다. '비접촉·비대면' 시대의 영업방식이다. 이미 도쿄 미나코구 다카나와게이트역 앞 광장에서는 배달로봇에 대한 실증실험이 한창이다. 일부 음식점에서는 모니터 가까이 손만 대면 작동하는 터치리스' 단말기를 설치하거나, 이 단말기의 QR코드를 찍어 고객 개인의 스마트폰으로 음식을 주문하는 영업방식도 도입되고 있다. 일본이 앞서 있다고 평가되는 로봇산업, 전자산업의 강점을 십분 활용한 것이다.
기업의 일하는 방식도 빠르게 재편되고 있다. 산토리홀딩스는 이달 그룹 내에 디지털 전략을 강화하기 위한 부서를 신설한다. 미쓰이물산은 이미 온라인 회의가 대세다. 전년의 160배다. 소프트뱅크그룹 계열 야후재팬 운영사인 Z홀딩스는 디지털 인재 확보를 새해 주요 과제로 삼았다.
일본 내 전문가들은 "10년이 걸릴 변화가 단 몇 달 동안 진행되고 있다"고 말한다. 비접촉을 통해 코로나 감염 가능성을 낮추고, 디지털 경제로 이행과 비대면 산업 육성, 저출산·고령화 시대 일손부족을 만회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측면도 있으나 기존 접촉 영역의 일자리 감소와 나아가 실직에 대한 공포, 가정경제의 불안도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ehcho@fnnews.com 조은효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