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정치

中, 트럼프엔 반격하고 바이든엔 러브콜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1.01.21 10:08

수정 2021.01.21 10:28

- 바이든 시대 맞춰 트럼프 관료들에게 '보복' 착수
- 차기 정부엔 "이견 조율하고 협력 도모해야"
미국 백악관 집무실에 앉아있는 조 바이든 대통령. /사진=뉴시스 외신화상
미국 백악관 집무실에 앉아있는 조 바이든 대통령. /사진=뉴시스 외신화상

【베이징=정지우 특파원】중국 정부가 조 바이든 시대 개막과 동시에 전임 행정부에 대한 반격에 들어갔다. 정권 마지막까지 늦추지 않았던 ‘중국 때리기’의 보복 성격이다. 반면 차기 정권에겐 ‘올바른 길’로 되돌리고 싶다며 러브콜을 보냈다. 새 시대에 맞춘 ‘선 긋기’로 풀이된다.

21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중국 외교부는 바이든 미국 대통령 취임 직전인 이날 새벽 성명을 내고 “중국의 자주권을 심각하게 침해하고 미국 정부의 중국 관련 움직임에 주로 책임이 있는 이들을 제재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부 장관, 로버트 오브라이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 정책국장, 데이비드 스틸웰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 존 볼턴 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스티브 배넌 전 백악관 수석전략가 등이 제대 대상이라고 공개했다. 이들과 직계 가족은 중국 본토, 홍콩, 마카오의 입국이 금지되며 관련 있는 회사와 단체 등도 중국에서 사업이 제한된다.

트럼프 정권 관료들은 바이든 정부 출범 하루 전인 지난 19일(현지시간)까지 중국을 향한 맹공을 이어갔다. 폼페이오 장관은 같은 날 중국의 아킬레스건 중 하나인 신장지역 내 무슬림과 소수민족 정책이 반인간적 범죄, 집단학살에 해당한다며 강도 높게 비판했다.

미 상무부와 국방부도 지난 14일 중국 국영 석유회사 중국해양석유(CNOOC), 휴대폰 제조업체 샤오미, 항공 관련 업체 스카이리존 등 9개사를 블랙리스트에 올렸다. 명목은 제품의 군사적 용도 활용과 남중국해에서 적대적 행위다.

블랙리스트에 오르면 미국의 새로운 투자 금지 조치를 적용받는 대상이 되며 미 투자자들은 오는 11월 11일까지 이들 중국 회사에 대한 지분을 처분해야 한다.

한 외신은 “바이든 취임을 앞두고 중국에 당혹스러운 일격을 가한 것”이라며 “이미 닳아버린 미중 관계를 추가로 경색시킬 것이 분명하다”고 평가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이 같은 중국 공세 이면에는 바이든 정권에게 부담을 주기 위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중국에 대한 강경 전략은 자신들의 공적임을 분명히 하면서 향후 관계 회복이 쉽지 않도록 안정 장치까지 마련해두겠다는 속내가 깔려 있다는 것이다.

반면 중국 정부의 태도는 이전과 달랐다. “단호히 대응할 것”이라고 성명을 발표하는데 그치지 않고 실질적인 행동에 옮기며 반격했다. 미국이 중국 정부 및 홍콩특별행정구 관리 6명에 대해 제재를 가하자 홍콩 문제에 관련된 미국 행정부, 의원, 비정부기구 직원·가족들에 대해 똑같이 제재하며 본격적인 반격을 시사했다.

중국은 다른 쪽에선 바이든 행정부에게 관계 개선의 손을 끊임없이 내밀고 있다.
화춘잉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전날 브리핑에서 “중국은 새로운 미 행정부가 우리와 마주보고 가고 이견을 조율하고 협력을 도모해 관계를 정상궤도로 조속히 돌려놓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도 하워드 슐츠 스타벅스 명예회장에게 서신을 보내 미중 경제무역 협력을 강조했으며 왕이 중국 외교 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 역시 신년 인터뷰에서 “중미관계는 새로운 희망의 창을 열 수 있다”고 제안했다.


이는 차기 바이든 행정부와 협력하는 것에 대해 낙관적이며 지난 4년간의 적대감으로부터 달라진 준비가 되어 있다는 중국의 시그널이라고 SCMP는 풀이했다.

jjw@fnnews.com 정지우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