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증가가 설비투자로 이어지면서 경제성장을 이끌 것이라고 전망했다. 금융연구원은 취약부문 지원은 선별정책이 가능한 재정·금융 정책이 주도하고 경제 전 부문에 영향을 주는 통화정책은 전체 경기상황에 따라 완화 정도를 조절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올해 1·4분기 국내 경제성장률이 1.6%로 추정치를 크게 웃돌자 주요 기관들은 이미 국내 경제성장 전망치를 일제히 올렸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지난달 한국 성장률을 3.1%에서 3.6%로 상향 조정했으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성장률을 종전 2.8%에서 지난달 3.3%로 올렸다. JP모간은 올해 1·4분기 성장률을 고려해 올 성장률 전망치를 4.6%로 제시했다. 금융연구원 역시 4%대로 성장률을 전망하면서 앞으로 주요기관들이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4%대로 제시할 가능성이 커졌다.
경제성장을 이끌 원동력은 수출 부문이다. 금융연구원은 미국을 비롯해 주요국의 대규모 경기부양과 세계 경제회복으로 올해 우리나라 총수출 증가율은 9.2%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설비투자는 반도체 산업 중심으로 증가해 올해 6.8%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다. IMF는 지난 4월 올해 세계경제 성장률을 6.0%로 전망하며 지난해 10월 전망치보다 0.8%포인트 상향 조정했다. 민간소비 증가율은 2.3%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금융연구원은 "경기회복에 따른 가계소득 증가, 코로나19 이후 누적된 가계저축, 백신접종 확대, 코로나19 상황에 적응한 소비활동 증가 등에 힘입어 민간소비가 점차 회복될 것으로 판단한다"고 밝혔다.
다만 여전히 이동·여행 등 대면업종에서 소비활동에 제약이 큰 만큼 2020년 4.9% 하락한 민간소비가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회복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원자재 가격 상승, 백신 보급과 수출 호조 등으로 소비회복세가 이어져 1.8%를 제시했다.
금융연구원은 향후 예상보다 빠른 경기회복세와 불균등 성장에 대응해 경제정책 조합을 적절히 조절해야 한다고 밝혔다. 통화정책은 경제 전체의 경기회복 속도에 맞춰 완화 정도를 축소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다만 기준금리 인상 시점에 대해 경제주체들이 대응할 수 있도록 사전에 시그널을 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재정과 금융정책은 경기회복이 불균등한 점을 감안해 취약부문에 대한 지원 종료를 서두르지 말고 충분한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pride@fnnews.com 이병철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