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부 "글로벌 시장 주도권 확보"
10대 전략기술 5년간 2000억 투자
한·미 6G 공동연구 파트너십 구축
10대 전략기술 5년간 2000억 투자
한·미 6G 공동연구 파트너십 구축
임혜숙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23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열린 6G 전략회의에서 이같이 강조했다. 6G 상용화 시기는 오는 2028년~2030년 사이로 예상되고 있다. 이미 미국과 중국 등 세계 주요 국가들은 6G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며 기술패권 경쟁에 돌입한 상태다.
한국은 한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미국과 6G에 대한 미래지향적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공동연구 등 협력을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이에 따라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과 미국 국립과학재단(NSF)은 이날 공동연구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올해부터 6G 공동연구를 본격 추진한다.
과기정통부는 이날 회의에서 6G 연구개발(R&D) 실행계획도 수립했다. 차세대 핵심 원천기술 확보를 위해서는 당장 민간이 적극적으로 투자하기 어려운 저궤도 통신위성, 초정밀 네트워크 기술 등 6대 중점 분야의 10대 전략 기술에 오는 2025년까지 총 2000억원, 올해 기준 총 179억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특히 6G 시대에는 이동 중인 비행체와 해상·재난지역 등에서도 Gbps급 통신 이용이 가능하도록 위성망·지상망의 통합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위성·지상 간 통합 접속기술을 개발하고 2031년까지 총 14기의 검증용·실증용 저궤도 위성을 발사하는 등 위성통신기술 발전전략의 이행도 병행해 추진될 방침이다.
기술개발과 함께 6G 국제표준화에도 집중한다. 삼성전자는 최근 테라헤르츠(THz) 대역에서 데이터 통신에 성공했으며, 국내 전문가들은 미국 Next G 얼라이언스에서 6G 관련 주요 작업반 의장으로 선출됐다. 임 장관은 "글로벌 사회에서 한국의 경쟁력이 인정받았기에 가능했던 부분"이라며 "향후 기술표준 논의를 선도해 나갈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성과"라고 말했다.
과기정통부는 6G 연구와 산업 기반 조성을 위해 올해 3개 대학 내 6G 연구센터를 지정하고 석박사급 인력 양성을 유도할 계획이다. 아울러 국내 중소·중견기업과 국내 대학·연구소가 공동으로 참여하는 형태의 R&D를 확대해 실무인력의 6G 역량 강화도 촉진할 방침이다.
과기정통부는 향후에도 6G 핵심기술 확보를 위해 3대 분과위원회 등 민관 협력 활동을 지속해 나가며, 6G R&D를 차질없이 이행해 나갈 계획이다.
임 장관은 "6G 기술은 도서·산간, 공중·해상 어디서든 디지털 서비스 이용을 가능하게 하며 모든 사람과 사물, 공간을 긴밀하고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만물 지능인터넷의 기반이 돼 전체 산업의 혁신을 촉발할 것"이라며 "다가올 6G 시대에서도 한국의 차세대 디지털 핵심 경쟁력 우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지원과 협력이 필요하다"고 했다.
syj@fnnews.com 서영준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