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경제

中 경기둔화 공포… 포스코는 전력난까지 이중고, 현대차는 부양책 기대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1.10.11 17:58

수정 2021.10.11 17:58

中 진출 한국 기업 '온도차'
포스코, 공장 가동·중단 반복
현대차, 제네시스 공략 박차
中 폭우로 전력난 가중 중국의 2대 강인 황허가 범람하면서 지난 10일 산시성 허진시가 물에 잠겨 있다. 산시성에서는 176만명의 이재민도 발생했다. 지난 2일부터 계속된 호우로 성내 60곳의 탄광 채굴까지 멈추면서 심각한 석탄 부족과 전력난이 더 악화될 것으로 보인다. AP 뉴시스
中 폭우로 전력난 가중 중국의 2대 강인 황허가 범람하면서 지난 10일 산시성 허진시가 물에 잠겨 있다. 산시성에서는 176만명의 이재민도 발생했다. 지난 2일부터 계속된 호우로 성내 60곳의 탄광 채굴까지 멈추면서 심각한 석탄 부족과 전력난이 더 악화될 것으로 보인다. AP 뉴시스
【파이낸셜뉴스 베이징=정지우 특파원】 중국 경기둔화가 연말로 갈수록 가속화되면서 주요 무역 상대국인 한국 경제에 미치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하지만 중국 주재 한국기업들은 최근 중국 경제위기를 두고서 다소 온도차를 보이고 있다.

11일 중국 현지기업들에 따르면 중국 경기둔화 속에서 전력난까지 극심한 철강업종은 위기감이 팽배하지만 소비재업종인 자동차와 전자업종은 곧 회복될 것으로 보고 있다.

중국 장쑤성 장자강시 국가발전개혁위원회는 포스코 중국 스테인리스 회사인 장가항포항불수강 공장의 전력공급을 지난 4일부터 다시 40%가량 차단했다. 해당 정부가 이달 1일 전력제한 조치를 해제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공장이 정상적으로 운영된 기간은 3일에 불과한 셈이다.


장자강시 정부는 9월 중순부터 말까지 보름가량 불수강 공장 전력 90%를 끊었었다. 이로 인해 불수강 공장은 해당 기간 전기로 등 필수설비만 가동했다. 포스코 관계자는 "장자강시 발개위가 10월에는 충분히 정상 가동이 가능하다고 했지만 4일부터 다시 전력난을 이유로 공급을 제한했다"고 말했다.

불수강 공장은 전력공급이 줄어들면서 생산량도 60% 수준에 머물고 있다. 당국은 이마저도 낮시간대 대신 전력사용이 비교적 적은 심야시간대만 공장을 돌리도록 허용했다. 이 때문에 불수강 공장은 기존 재고품으로 부족한 물량을 맞추는 상황이다. 하지만 중국 기업은 공장의 불을 아예 꺼버리는 사례도 있고 외국 기업이라는 신분으로 항의하기도 쉽지 않다.

겨울철 난방이 시작되면 전력난이 가중될 가능성이 있다. 철강 특성상 며칠 사이에 공장 가동과 중단을 반복하거나 가동시간을 수시로 변경할 경우 공정 차질은 불가피하다. 중국 내 한국산 철강 수요가 급증하는 분위기에서 기회비용 역시 상실된다.

포스코 관계자는 "한국·중국·동남아시아 등에서 철강 수요가 늘어 중국이 철강을 더 달라고 해도 못 주는 입장"이라며 "지방정부의 SOC(사회간접자본) 사업이 본격화되면 철강 수요는 증가할 수 있으며 향후 고급강으로 수익성을 강화하는 전략을 쓸 것"이라고 전했다.

현대차는 중국 소비가 위축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 걸림돌로 분석된다. 중국 소매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 증가율은 지난 7월 8.5%에서 한 달 만에 6%p 추락했다. 전염병 확산 시기였던 지난해 8월 0.5% 이후 1년 만에 최저치다. 자동차류는 7.4% 감소했다.

중국은 11년간 1위 자리를 지켜온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이다. 그러나 2018년부터 3년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이어왔고, 그나마 올해부터 신에너지차 판매량 급성장으로 상쇄하는 중이다.

현대차는 올해 말부터 시작될 G80 등 제네시스 중국 고객 인도를 성장 모멘텀으로 삼겠다는 입장이다. 또 중국 정부가 내년 2월 베이징동계올림픽과 10월 당대회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 부양정책을 내놓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현대차 관계자는 "(중국 현재 상황에서) 특별히 (회사의 전략) 변화는 없다"면서 "소비둔화가 중요하긴 하지만 자동차 시장 회복세 등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삼성전자 역시 중국 경기둔화가 예상되더라도 기조에 변화는 없다는 입장이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미·중 무역분쟁이나 중국 기업의 중저가 휴대폰 시장 장악 등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라며 "소비자 니즈에 맞춰 꾸준히 현지 만족도를 높여갈 것"이라고 피력했다.

반면 중국 정부가 자국 경제에 대해 부정적 전망을 내놓지 않고 있는데, 한국기업이 먼저 나서서 경기위축 등을 언급하기 어렵다는 의견도 있다.
중국 소식통은 "체감상 좋지 않다고 해도 외국기업이 얘기를 하기가 쉽지 않다"며 "자칫 미운털이 박힐 수도 있다"고 진단했다.

jjw@fnnews.com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