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이대로면 물가 이달 4% 찍는다…금리인상 기폭제 될수도 [갈수록 커지는 물가압박]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2.03.07 18:28

수정 2022.03.07 18:28

공공요금 누르고 유류세 내려도
국제유가·곡물값 등 고공행진에
우크라이나발 인플레 본격화
방어하려면 금리 올려야하지만
경기침체 우려도 커져 '딜레마'
이대로면 물가 이달 4% 찍는다…금리인상 기폭제 될수도 [갈수록 커지는 물가압박]
소비자물가 4% 돌파가 임박했다는 전망이 늘고 있다. 기존엔 정부가 공공요금 인상 억제, 유류세 추가 인하, 할당관세 적용품목 확대 등 물가잡기에 총력을 기울이면서 4% 물가는 현실화되지 않을 것이란 예상이 다소 우세했다. 하지만 6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국제유가가 장중 배럴당 130달러를 단숨에 넘어서면서 소비자물가가 4%를 넘어설 수 있다는 전망이 세를 얻고 있다.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10월부터 5개월 연속으로 3%대를 기록 중이다. 만약 물가상승률이 4%대를 넘어서면 2011년 12월(4.2%) 이후 10여년 만에 처음이다.


■유가· 곡물가 ↑…인플레 본격화

4%대 물가상승률 가능성은 유가 등 에너지 가격에다 곡물 가격 등 원자재 값 급등 때문이다. 사실상 우크라이나발 인플레이션이다.

미국이 러시아산 석유 수입을 금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러시아는 석유와 정유제품을 하루에 700만배럴가량 수출한다. 러시아의 침공을 받은 우크라이나는 세계 최대 곡창지대다. 세계 공급량의 약 7%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밀 수출량은 지난해 전 세계 밀 무역량의 30% 정도를 차지한다.

공급불안에 시장가격은 뛸 수밖에 없다. 이날 영국 시장에서 브렌트유가 장중 130달러 이상 급등한 주된 이유다.

곡물가 또한 급등세다. 최근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2월 세계식량가격지수는 140.7로 1년 전에 비해 20.7%나 급등했다. 1996년 관련 지수를 집계한 이래 최고치다. 더구나 2월 지수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기 이전 상황이 반영돼 더 오를 가능성이 높다.

통상 원유, 곡물 같은 원자재 가격 상승은 한달 안팎의 시차를 두고 국내에 반영된다. 전문가들은 빠르면 이달부터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0%를 넘어설 것이라는 관측을 내놓고 있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당국이 생각하고 있던 이상으로 인플레 압력이 높아지고 있다"며 "원자재, 곡물 값 상승에다 원화 자체도 불안(원·달러 환율 상승)해지고 있어 물가상승폭을 더 높일 수 있다"고 전망했다.

■금리 추가인상 가능성…경기는?

대외변수들이 인플레 압력을 극도로 높이면서 한국은행의 추가 금리인상 가능성이 한층 높아지게 됐다. 물가방어를 최우선으로 하는 한은으로서는 기준금리 인상으로 대응할 수밖에 없어서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 등 주요국 중앙은행들도 이 같은 움직임을 보일 것으로 예측된다. 국제금융센터가 7일 내놓은 '최근 우크라이나 사태에 대한 시장반응 및 해외시각'에 따르면 글로벌 투자은행(IB)인 UBS, 씨티는 "단기적으로 지정학적 위험이 연준의 긴축을 늦출 수도 있지만, 에너지 가격 상승에 따른 인플레 압력 심화로 앞으로 매파(물가안정을 우선시하는 통화결정론자) 기조가 더욱 강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인플레 정점이 뒤로 밀리면서 더욱 빨리 금리를 인상할 수 있다는 것이다.

통상 한은은 외국 투자자본의 급격한 유출 등을 우려, 미국 등 주요국과 통화정책에 보조를 맞춘다. 김태기 단국대 경제학과 명예교수는 "물가상승과 경기침체라는 양 방향으로 뛰는 두 토끼를 잡아야 하는 상황이어서 한은의 통화정책이 딜레마"라고 분석했다. 김 교수는 "과거 1970년대 석유위기 때처럼 성급한 통화정책으로 상황을 더 악화시키기보다는 혁신 등을 통해 외부충격을 경제가 흡수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우는 데 정책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한은의 금리인상 기조는 유지하는 게 맞지만 인플레보다는 경기침체 가능성 때문에 기존에 한은이 생각하는 금리인상 속도와 폭이 있다면 상당부분 늦추거나 낮추는 게 맞다고 본다"고 밝혔다.

현 상황은 물가에 정책역량을 집중해야 한다는 시각도 있다.
성 교수는 "해외요인을 우리가 통제할 수 없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유동성을 회수하는 작업이 경제 전반의 위험도를 줄이는 선결과제"라고 밝혔다.

mirror@fnnews.com 김규성 김현철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