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아파트값 끝없는 추락...22주 내리막에 낙폭도 최대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2.10.06 14:00

수정 2022.10.06 14:00

주간 전국 아파트값 -0.20%, 22주 연속 하락
서울은 -0.20%…19주 연속 내림세
수원 영통구 -0.71%, 규제지역 중 하락률 가장 커
"당분간 하락장 지속될 전망"
서울 도심 아파트 단지의 모습. 사진=뉴스1
서울 도심 아파트 단지의 모습. 사진=뉴스1

주간 아파트 매매가 변동률
(%)
2021년 누계 2022년 누계 2022년 9월 26일 2022년 10월 3일
전국 10.94 -1.72 -0.20 -0.20
서울 5.11 -1.71 -0.19 -0.20
인천 18.76 -3.23 -0.31 -0.31
경기 17.63 -2.65 -0.27 -0.26
지방 8.43 -1.04 -0.16 -0.15
(한국부동산원)

[파이낸셜뉴스] 아파트값이 바닥을 모를 정도로 떨어지고 있다. 매수심리 위축에 따라 간간이 있는 급매 위주로 지표가 폭락하는 중이다. 현장에서는 급매 외 매물은 매수자가 희망하는 가격을 웃돌고 있기 때문에 한동안 하락 조정이 계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6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10월 1주 전국 아파트 매매가 변동률은 마이너스(-) 0.20%로 나타났다. 지난 5월 2주부터 22주 연속 하락세다.
낙폭도 최대치다. 지난 9월 3주 -0.19%로 2012년 5월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가장 큰 하락률을 기록한 데 이어 9월 4주 -0.20%, 이번주 -0.20%로 최대 낙폭을 경신 및 유지하고 있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 변동률은 -0.20%로 지난주(-0.19%) 보다 0.01%p 낙폭을 키웠다. 19주 연속으로 내림세를 기록하고 있다. 서울 자치구 중 하락률이 가장 낮은 서초구(-0.07%)는 지난주(-0.05%)보다 0.02%p 더 내렸다. 다음 순위인 광진·성동구(-0.08%) 역시 지난주 대비 각각 0.02%p, 0.01%p 크게 하락했다.

강북권은 도봉구(-0.37%)가 도봉·창동 구축 중심으로 가장 큰 낙폭을 보였다. 이어서 노원구(-0.36%)는 상계·중계·월계동에서 심한 하락세를 보였다. 강남권은 송파구(-0.27%)가 잠실·송파동 대단지와 오금동을 중심으로 가장 큰 하락률을 기록했다. 뒤이어 강서구(-0.23%)는 내발산·가양동을 중심으로, 금천구(-0,22%)는 가산·시흥동 중저가 위주로 크게 내렸다.

인천 아파트 매매가 변동률은 -0.31%로 지난주와 같았다. 중구(-0.39%)가 영종하늘도시 대단지를 중심으로 가장 많이 하락했다.

경기 아파트 매매가 변동률은 -0.26%로 지난주(-0.27%)보다 낙폭이 소폭 줄었다. 수원 영통구는 -0.71%를 기록해 전국 규제지역(투기과열지구 및 조정대상지역) 중 하락률이 가장 높았다.

경기권 낙폭 감소는 지난달 26일부터 조정대상지역에서 해제된 동두천(-0.35%→-0.31%)·안성(-0.07%→-0.02%)·양주(-0.47%→-0.45%)·평택(-0.20%→-0.15%)시가 주효했다. 반면, 함께 해제된 파주시(-0.26%→-0.36%)는 낙폭이 확대됐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규제완화 지역이라도 금리 인상 여파로 매수심리가 좋지 않다"며 "거래량이 적고 시장이 위축된 상황이기 때문에 (파주는) 낙폭이 커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지방 아파트 매매가 변동률은 -0.15%를 기록해 지난주(-0.16%) 대비 하락률이 줄었다. 세종(-0.39%)의 하락세가 가장 심했고 대전(-0.28%), 대구(-0.25%)가 뒤를 이었다.
지난주 대비 변동률 차이는 울산(-0.24%→-0.21%)로 가장 개선됐고, 광주(-0.18%→-0.21%)로 가장 악화됐다.

김규정 한국투자증권 자산승계연구소장은 "거래가 급매 중심으로 이뤄져 지표상으로는 낙폭이 확대되고 있지만, 급매 물량이 많지 않아 하락장에 대한 시장 체감은 덜한 편"이라며 "전 고점 대비 30%가량 내린 값에서 급매 거래가 이뤄지는 만큼 주요지역에서 유사한 가격대로 조정될 때까지 집값 내림세가 지속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그는 "계속해서 조정이 이어지면 언젠가 부양책이 나올 것"이라며 "미분양 대책이든 대출규제 완화든 구체적인 정부 부양책이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heath@fnnews.com 김희수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