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증권가의 새로운 먹거리로 떠오른 '토큰증권(ST)'에 대해 당국과 업계 관계자들은 "'증권'으로서의 본질은 변하지 않는다"고 입을 모았다. 증권사와 조각투자업체들은 '어떤 상품'을 시장에 내놔야 할 지'를 고민하고 있었고, 금융당국은 '정보비대칭 해소'와 '공정거래' 등 증권시장의 원칙을 지켜주길 당부했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희곤 의원이 6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개최한 '2023 한국형 토큰증권 세미나’에서 최원영 하나증권 디지털본부장은 "토큰증권에서 블록체인 기술은 실제로 크게 중요하지 않을 수 있다"며 "토큰증권이 활성화되면 투자자들이 투자할 수 있는 상품과 자산은 다양화될 수 있다. 우리도 어떤 상품을 내놓고, 어떻게 투자자들에게 상품을 어필할 지를 고민하고 있다"고 전했다.
석우영 KB증권 디지털자산사업추진단장은 "ST의 대상 자산은 부동산과 채권, 미술품, 선박과 항공기 등이 단기적으로 거론된다"며 "장기적으로는 음원과 영화 등 지적재산권(IP)과 탄소배출권 등까지 증권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준 한화투자증권 디지털전략실장은 "중장기적으로 봤을 때 ST를 통해 투자자들에게 어떤 새로운 편익을 줄 것인 지가 관건"이라면서 "중형 증권사로서 뻔한 자산을 내놓기보다는 차별적이고 지속가능하며 독점적인 상품 라인업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예상되는 규제에 대한 의견도 다양했다. 최원영 본부장은 "제도가 구체화되지는 않았지만 ST도 한국거래소에서 거래될 수 있어 비슷한 규제를 받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석우영 단장은 "다양한 자산을 대상으로 하다 보니 미술품 등의 자산에 대해 '적정한 가치를 어떻게 책정해야 하냐'는 문제에 직면한다"며 "금융당국에서도 이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더 구체적으로 제시해주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금융위원회 이수영 자본시장과장은 "ST에서 블록체인을 포함한 기술은 '그릇'에, STO를 통해 투자를 받는 자산은 '음식'에 해당한다"며 "결국 어떤 그릇에 담건 계약 내용이 증권이면 증권 규제를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토큰증권 가이드라인이 블록체인 생태계에 지나친 규제를 하고 있다는 지적에 이 과장은 "증권제도를 만든 취지도 증권시장을 못 믿어서가 아니다. 발행인과 투자자 사이에 생길 수밖에 없는 정보비대칭 등을 보완하기 위해서"라며 "블록체인의 장점을 통해 다양한 자산을 증권화하고, 여러 사업자들이 진출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글로벌블록체인산업위원회, 일본 토큰증권발행(STO)협회 등 글로벌 기관과 전문가들이 세계 동향을 전달했다. 이들은 토큰증권 제도의 바람직한 방향에 대해 △생태계 간 호환성 △규제의 명확성과 균형감각 △자산의 다양성 등을 주문했다.
산드라 로 글로벌블록체인산업위원회 회장은 "ST는 글로벌 시장과 연동돼야 한다. 프라이빗과 퍼블릭 블록체인 사이를 연결하고, 생태계를 확장시켜야 한다"면서 "발행시장과 유통시장을 모두 활성화시켜야 한다"고 조언했다.
스티브 발라스 블록체인아시아태평양지역 대표는 "증권성 분류에 대한 명확하고 신속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야 시장의 불확실성을 없애고 안정적으로 산업을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fair@fnnews.com 한영준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