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배달료 껑충 뛰어..소비자와 자영업자 대거 이탈
최근 배달료가 천정부지로 치솟으면서 가격 부담에 염증을 느낀 소비자와 자영업자들이 배달앱을 속속 떠나고 있다. 하지만 라이더들은 사측에서 배달 노동자에게 지급되는 기본배달료 비율을 높일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용자 이탈을 막고 배달 노동자들간 과열된 배달 경쟁을 방어할 수 있는 배달료 구조를 조속히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배달료 급등에 부담 가중 '포장 주문' 각광
24일 빅데이터플랫폼 기업 아이지에이웍스에 따르면, 지난 2월 기준 배달앱 3사(배달의민족·쿠팡이츠·요기요)의 앱 사용자(MAU) 수는 전년 동월 대비 18.5% 감소한 2922만명을 기록했다. 주요 배달앱 이용자 수가 3000만명 이하로 떨어진 것은 지난해 9월 2979만명 이후 5개월 만이다.
배달비가 꾸준히 오르면서 소비자와 자영업자 모두에게 부담이 커지자 이용자 감소가 가속화됐다는 지적이다. 실제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에 따르면 배달의 민족 최빈 배달비는 (묶음배달 기준) 올 1월에서 지난 3월 두 달 만에 최대 1000원가량 상승했다. 구체적으로는 △2㎞ 미만 2000원→2500원 △2㎞~3㎞미만 2000원→3000원으로 올랐다.
배달료 상승 부담에 일부 매장은 배달앱 내 가격을 매장 주문보다 비싸게 책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달비가 높다는 비난을 피하고자 오른만큼을 음식 값에 포함한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소비자원이 지난해 11월 배달앱 3사 입점한 서울 내 음식점 34곳의 메뉴 1061개 가격을 조사한 결과, 이중 541개 메뉴가 가격 차이가 났고, 이중 97.8%(529개)는 배달 가격이 매장보다 더 비싼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배달 대신 포장 주문을 유도하는 매장도 적지 않게 등장하고 있다. 수수료 부담을 덜기 위해 업체들이 자구책 마련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배달료에 부담을 느낀 일부 소비자들이 포장 할인에 적극 호응하자 되레 매출이 증가했다는 매장도 등장했다.
자영업자 A씨는 지난달 온라인 커뮤니티에 게시한 글을 통해 "근처 먹거리 가게 4곳과 뭉쳐 '포장 시 1000원 할인' 전단지를 만들어 홍보했더니 42일 만에 기존 매출의 2.8배를 벌었다"며 "배달비가 아깝다는 소비자들의 심리와 합쳐져 효과가 컸던 것 같다"고 소개했다.
라이더 "기본배달료 1000원 인상해야"
한편 배달 라이더들은 기본 배달료 인상을 요구하고 있다.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배달플랫폼노동조합은 최근 기자회견을 열고 배달의민족에 "9년째 동결 중인 기본배달료 3000원을 4000원으로 인상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노조는 또 배달의민족이 소비자의 배달비 부담 경감을 위해 최근 개시한 '알뜰배달'의 배달료를 2200원으로 책정한 것과 관련해 '배달 건수를 높여 시급을 높이려는 정책'이라며 "배달 노동자의 노동 강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안전에 위협이 될 수 있다"고도 비판했다.
이들 노조는 "고객의 배달비를 올려서 기본배달료를 올리라는 것이 아니라, 사측이 업주에게 받는 배달비 6000원 중 라이더에게 지급하는 배달료 비율을 높이라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노조는 이달 27일 사측과의 2차 초정이 결렬될 경우 5월 1일 집회·오토바이 행진, 어린이날인 5월5일에는 '주문 파업' 운동을 벌일 예정이다. 휴일이라 배달 수요가 많은 만큼 배달 대란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이와 관련 배달 노동자들의 안전을 보장하되 배달료로 인한 자영업자들의 고충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경기연구원은 '공정 배달료 추진방안 연구보고서'를 통해 "플랫폼 배달 노동자들의 과도한 초과근무 문제를 해결하고 배달 경쟁에 내몰리지 않도록 일정한 최저소득을 보장하는 '최저 수수료'를 지급할 필요가 있다"며 "지역 차원에서 지역별 특성을 고려해 최저 수수료를 설정해 플랫폼 기업들이 이를 실행토록 권고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소병철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해 공정거래위원회 국정감사를 통해 "배달수수료 등이 과도해 음식값으로 소비자에 전가할 수밖에 없다는 음식점주들의 목소리가 잇따르고 있다"며 "배달앱이 '갑'이고 음식점주·소비자들이 '을'인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규제 법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nodelay@fnnews.com 박지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