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정부는 "검증에 가까운 활동" 등 용어까지 동원해 사실상 오염수 안전성 검증 의지를 나타냈지만, 일본은 안전성 평가는 없다고 선을 그었다.
반면 한국 정부 당국은 이번 시찰단 파견을 통해 안전성을 평가할 수 있다는 취지의 메시지를 내 온도차를 보였다.
외교부는 이날 오후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현안 보고 자료에서 시찰단 파견과 관련해 "정부는 기존에 참여해왔던 국제원자력기구(IAEA) 모니터링 태스크포스(TF)에 더해 독자적으로 오염수 처리의 안전성을 중층적으로 검토·평가할 기회를 확보했다"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한국을 비롯한 국제 전문가들의 참여하에 IAEA 검증이 이미 진행되고 있어 한일 양국은 공식적으로 이번 시찰단 파견 목적이 한국의 독자적 '검증'이라는 표현은 쓰지 않고 있다.
한 주권국가의 일을 타국이 검증한다는 표현이 국제관례상 맞지 않으며 자칫 IAEA의 권위를 인정하지 않는다는 듯한 인상도 줄 수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결국 한국이 자체적으로 오염수 처리의 안전성을 알아보는 것이 이번 시찰단 파견의 실질적 기능이라고 한국 정부 당국자들은 인식하는 것으로 보인다. 단순 시찰에 그친다면 오히려 국민의 우려만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한일 정부가 이처럼 결이 다른 메시지를 계속 낸다면 앞으로 사전협의나 실제 활동뿐 아니라 시찰 이후로도 논란이 지속될 소지가 있다.
임수석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기시다 총리도 한국 국민들의 우려를 잘 알고 있고 한국 국민의 건강과 해양환경에 악영향을 주는 형태로 방출을 용인하지 않겠다고 분명하게 언급한 바 있다"며 "시찰단 파견을 받기로 한 것도 그러한 일본 측의 노력의 일환"이라고 말했다.
jhpark@fnnews.com 박지현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