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작년 가구당 순자산 5억2071만원…집값 하락에 4% 줄어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07.20 14:35

수정 2023.07.20 15:23

2022년 국민대차대조표…가계 실물자산 303조↓
토지자산 등 부동산 침체 영향 기인
주택 시총 -5.2%↓...급등기 13% 상승 대조

한국, 2년간 긴축에도 여전히 GDP보다 가계부채↑ (서울=연합뉴스) 서대연 기자 = 2년간 통화 긴축 기조가 이어지고 있지만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 부채 비율은 102.2%로 여전히 높은 수준을 보였다. 29일 국제금융협회(IIF)의 세계 부채(Global Debt)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기준으로 세계 34개 나라(유로 지역은 단일 통계)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 부채 비율을 조사한 결과, 한국이 102.2%로 가장 높았다. 사진은 이날 서울 시내 한 은행에 붙은 대출 관련 광고물. 2023.5.29
한국, 2년간 긴축에도 여전히 GDP보다 가계부채↑ (서울=연합뉴스) 서대연 기자 = 2년간 통화 긴축 기조가 이어지고 있지만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 부채 비율은 102.2%로 여전히 높은 수준을 보였다. 29일 국제금융협회(IIF)의 세계 부채(Global Debt)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기준으로 세계 34개 나라(유로 지역은 단일 통계)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 부채 비율을 조사한 결과, 한국이 102.2%로 가장 높았다. 사진은 이날 서울 시내 한 은행에 붙은 대출 관련 광고물. 2023.5.29 dwise@yna.co.kr (끝) /사진=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지난해 우리나라 가구당 순자산은 전년대비 2000만원 감소한 약 5억2000만원 수준으로 나타났다. 전체 국민순자산도 2경380조원으로 다소 늘었지만 14년만에 증가율 최대폭을 기록했던 2021년에 비해 증가세가 둔화되는 모습이다. 2년 연속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던 토지 자산 비중도 감소전환하며 가계의 실물자산은 300조원 가까이 줄어들었다.

통계청과 한국은행이 20일 발표한 '2022년 국민대차대조표'에 따르면 지난해 말 우리나라 전체 국민 순자산은 전년대비 441조원(2.2%) 증가한 2경380조원이다.
토지 등 실물인 ‘비금융자산’과 주식 등 ‘순금융자산’을 합한 국민순자산은 우리나라 명목 GDP(2150조원)의 9.4배로 전년(9.6배)보다 소폭 낮아졌다.

제도부문별로 보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자산 하락폭이 둔화세에 큰 영향을 미쳤다. 지난해 가계 및 비영리단체는 국민 순자산의 55.1%(1경1237조원)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대비로는 318조원이 줄어든 수치다.

지난해 부동산 경기침체가 직격탄을 날리며 주택 등 비금융자산에서만 303조원이 줄었다. 지난해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자산 가운데 부동산 관련 비중은 73.6%에 달했다. 주택은 51.0%(5728조원), 주택이외 부동산은 23.6%(2651조원)에 이른다.

지난해 우리나라 전체 주택 시가총액 역시 감소 전환했다. 전년대비 342조8000억원(-5.2%) 줄어든 6209조원 수준이다. 지난 2021년 772조1000억원(13.4%) 급등한 지 1년만에 추락을 시작한 셈이다.

가계 및 비영리단체 순자산 비중 /사진=한국은행
가계 및 비영리단체 순자산 비중 /사진=한국은행
금융자산 역시 현금 및 예금 151조원, 보험 및 연금 준비금 47조원 증가를 보였지만, 지분증권 및 투자펀드가 주가 하락 등의 영향으로 전년대비 152조원 감소했다. 금융부채에 해당하는 대출금도 66조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물자산 가치가 추락하며 가구당 순자산은 전년(5억4301만원) 대비 2230만원(-4.1%) 감소한 5억2071만원으로 추정된다. 전년에는 8% 가량 늘었던 가구당 순자산도 1년만에 감소 전환한 셈이다. 가구 당 자산은 국민대차대조표에서 추계하지 않아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전체 자산을 조사 대상인 2158만가구로 나눈 값이다.

부동산 시장 부진은 전체 국민순자산 증가폭 둔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지난해 394조원(4.7%) 증가한 생산자산 역시 증가폭에서 둔화가 나타났고, 주거용건물 감소가 주 요인으로 꼽혔다. 건설자산은 비주거용건물이 161조원(7.9%), 토목건설이 129조원(6.0%) 각각 증가했지만 주거용건물에서만 77조원(-3.7%)이 줄었다.

설비자산(8.0%)과 지식생산물(9.6%)은 모두 증가하며 기계류 68조원(9.1%), 운송장비 14조원(5.1%), 기타지식재산생산물 21조원(11.3%), 연구개발(R&D) 39조원(8.8%) 등 세부항목에서도 증가를 보였다.

118조원(-1.1%) 감소를 겪은 비생산자산 부문에서도 토지자산이 119조원(-1.1%) 줄어든 영향이 컸다. 2021년 GDP 대비 5.2배까지 치솟았던 토지자산은 지난해 4.9배 수준으로 내려왔다. 건설자산과 마찬가지로 주거용건물부속토지에서 266조원(-6.0%)이 줄어들며 비주거용건물부속토지의 84조원(3.6%) 증가폭을 넘어섰다. 그 밖에 문화오락용토지 22조원(6.7%), 구축물부속토지 10조원(1.0%) 등에서는 증가세를 보였다.

수도권의 토지자산 쏠림 현상은 그대로 이어지고 있다.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10% 이상의 토지자산 증가율을 보인 곳은 서울, 경기, 인천 3곳 뿐이다. 2021년말 시도별 토지자산은 서울이 3,061조원으로 전체 토지자산의 28.9%를 차지했다.
증감률은 경기(10.8%), 인천(10.4%), 서울(10.2%) 순이었다.

chlee1@fnnews.com 이창훈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