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전남도, 어린이 놀이터 친환경 목재로 새단장 확대

황태종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3.09.24 10:31

수정 2023.09.24 10:31

지난해 목포·무안 시범사업에 이어 올해 5곳 추가 조성
전남도가 생활 속 목재 이용 확산을 위해 어린이 놀이시설을 대상으로 노후 놀이기구를 친환경 목재로 새롭게 단장하고 있다. 사진은 친환경 목재 놀이터인 목포 용당어린이공원 모습. 전남도 제공
전남도가 생활 속 목재 이용 확산을 위해 어린이 놀이시설을 대상으로 노후 놀이기구를 친환경 목재로 새롭게 단장하고 있다. 사진은 친환경 목재 놀이터인 목포 용당어린이공원 모습. 전남도 제공

【파이낸셜뉴스 무안=황태종 기자】전남도가 생활 속 목재 이용 확산을 위해 어린이 놀이시설을 대상으로 노후 놀이기구를 친환경 목재로 새롭게 단장하고 있다.

24일 전남도에 따르면 친환경 목재 어린이 놀이터는 플라스틱과 철재 중심의 어린이 놀이시설을 친환경 소재인 목재로 전환해 어린이가 안전하게 뛰어놀 수 있는 공간을 만드는 사업이다. 목재의 친환경성과 안전성, 온실가스 흡수 기능의 홍보를 통해 목재 이용 및 탄소중립 실천 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추진되고 있다.

지난해 목포시(용당어린이공원)와 무안군(어린이공원31호) 시범사업을 시작으로 올해는 10억원을 들여 △여수시 양지공원 △화순군 광덕제어린이공원 △해남군 해리1어린이공원 △함평군 대화어린이공원 △영광군 신하어린이공원이 조성 중이다.


대상지는 어린이 놀이시설의 낙후도, 이용성 및 활용도, 지속 가능성 등에 대한 서류 심사와 목재 관련 전문가의 현장심사를 거쳐 최종 확정됐다.

전남도는 어린이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고 창의성과 모험심을 기를 수 있는 다양한 놀이시설을 반영해 어린이 신체 발달과 정서 함양에 도움을 주도록 조성할 방침이다.

아울러 놀이공간 주변에 꽃과 나무를 심고 자연을 느끼고 탐구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 유치원 및 어린이집 체험교육과 연계를 통한 숲 교육 활성화도 기대하고 있다.

한국가구학회 자료에 따르면 목재놀이터는 친환경적이며 가공이 용이하고 안전성, 기능성, 아름다운 디자인과 뛰어난 색채감으로 어린이들의 정서 안정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 목재 큐빅 1g(16mm)은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 3.7g을 흡수함에 따라 일상생활에서 목재 제품 이용을 확대한다면 탄소중립을 실천할 수 있다.


강신희 전남도 산림자원과장은 "생활권 주변에 어린이들이 안심하고 자유롭게 뛰어놀 수 있는 자연 친화적 공간이 필요하다"면서 "학교, 주택, 공공시설 주변에 목재 놀이터를 확대 조성해 이용률을 높이고 탄소저장고인 국산목재를 이용한 다양한 시설 확충에도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hwangtae@fnnews.com 황태종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