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문가들은 ESG 보고 의무화가 2~3년뒤 유럽이나 미국 등 주요국의 무역규제이기도 하지만 관련 데이터가 글로벌 시장에서 공개되면 신사업이나 수주 확대에 큰 기회가 될 것으로도 내다봤다.
이 때문에 우리나라도 해외 주요국들처럼 국가 차원의 데이터 플랫폼 등 ESG 인프라 구축을 서둘러야 한다는 지적이다.
獨·英·日, 자체 플랫폼 통해 데이터 공유
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현재 ESG 데이터 인프라 구축의 선두 주자는 독일이다. 독일은 ‘카테나-X’라는 플랫폼을 통해 기업간 ESG 데이터를 공유하고 있다.
카테나-X는 독일 소프트웨어 솔루션 업체 SAP가 2021년 5월 완성차 업체 BMW, 메르세데스-벤츠, 폭스바겐, 자동차 부품업계 보쉬, 독일 상무부 등과 함께 설립한 디지털 생태계 플랫폼이다. 카테나-X의 가장 큰 특징은 ‘신뢰성’이다. 박문구 삼정KPMG 디지털혁신센터장은 “카테나-X 참가 기업은 ESG 외에 정보들을 탈취하지 않고 룰을 지키면서 운영되고 있다”며 “또 다른 특징은 여기서 쌓은 데이터가 다른 산업에도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카테나-X는 10개의 실증과제를 중심으로 자동차 산업 전 밸류체인을 포함한 데이터를 모으고 있다. 참여자들은 이곳에서 쌓은 탄소 데이터를 향후 차량 품질 관리, 사후 서비스 시장, 디지털 트윈 등 다른 산업에 연결하겠다는 계획이다.
영국 내 주요 8개 식품유통사들도 제품 전주기 과정에서 나오는 탄소량을 추적하기 위해 올해 초 ‘소매업자 넷제로 공동 프로그램’을 구축했다. 이들은 올해 17개 협력업체들과 함께 전체 공급망에서 발생하는 탄소량을 측정할 계획이다.
일본도 지난해 4월 배터리 공급망 협의회(BASC)를 중심으로 ‘일본식 배터리 공급망 디지털 플랫폼’을 구축했다. BASC에는 일본 완성차 업체와 배터리, 소재기업 등 55곳이 포함됐다. 일본은 해당 플랫폼으로 유럽연합(EU)이 만들고 있는 디지털 순환경제에 대응하겠다는 입장이다.
전문가들 "韓, 탄소 데이터 공유 플랫폼 필요"
전문가들은 우리나라도 정부를 중심으로 탄소 데이터 공유 플랫폼 개발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김인숙 한다포럼 대표는 "(ESG 지표 등) 데이터를 가지고 이윤을 창출하는 시대가 오고 있는데 국내에는 아직 탄소 데이터 관련 커뮤니티와 인프라가 없다"며 "그저 해외 사례를 몇 개 가져와서 따라하는 것은 근본적인 해법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정부가 현재 하고 있는 단순 1대 1 멘토링 방식 말고,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묶음을 만들어 커뮤니티를 만드는 게 필요하다"며 "커뮤니티도 여러 개를 만들어 경쟁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다만 정부가 깊게 개입하는 것이 아닌, '당근마켓' 처럼 플레이어(기업)들이 뛰어 놀 수 있는 놀이터를 만들어 주는 게 핵심"이라고 덧붙였다.
박 센터장은 "ESG를 해서 단순히 '착한 기업이 되자'는 것보다 이를 통해 글로벌 시장을 압도하자는 것"이라며 "ESG 데이터가 쌓여서 다른 연결 인프라까지 뻗어나가면 다른 산업으로의 진출도 가능하고, 중소기업들은 글로벌 시장에서 '인플루언서 기업'이 될 수 있는 기회"라고 설명했다.
기업 맞춤형 교육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있었다. 이재혁 고려대 경영대학 교수 및 ESG연구원 원장은 "기업 입장에서는 ESG 보고서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라며 "어떤 항목을 포함해야 하는지 모르는 기업이 많을 것"이라고 말했다.
kjh0109@fnnews.com 권준호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