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건·사고

경찰 "대법원 해킹 北 소행 가능성 높아"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03.04 13:36

수정 2024.03.04 13:36

우종수 국가수사본부장 2023.10.12/뉴스1 ⓒ News1 안은나 기자 /사진=뉴스1
우종수 국가수사본부장 2023.10.12/뉴스1 ⓒ News1 안은나 기자 /사진=뉴스1
[파이낸셜뉴스] 지난해 드러난 사법부 전산망 해킹 사건이 북한 해킹그룹 '라자루스'의 소행이라는 경찰 판단이 나왔다.

우종수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장은 4일 정례 기자간담회에서 '국가정보원이 해킹을 라자루스 소행으로 결론 내렸다'는 언론 보도에 대해 "경찰도 그렇게 보고 있다. 국정원과 필요한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우 본부장은 "그동안 라자루스가 했던 여러 가지 범죄 패턴 등을 봤을 때 (라자루스의 해킹) 가능성이 높다고 본 것"이라며 "어떤 경로로 침입 됐는지, 유출된 자료의 중요도 등은 수사를 통해 규명해야 할 사항"이라고 했다.
앞서 법원행정처는 지난해 2월 사법부 전산망에서 악성코드를 탐지해 삭제한 바 있다.
이후 보안전문업체에 분석을 의뢰한 결과 라자루스가 주로 사용하는 것과 유사한 기법의 악성코드로 파악됐다.

이어 안성 스타필드 번지점프 추락사고와 관련해 우 본부장은 "현재 당시 안전요원을 우선 입건했다"며 "향후 필요한 안전조치 관련 교육과 관리자 책임 등을 철저히 (파악해) 관리자 입건 여부를 검토하겠다"고 전했다.

beruf@fnnews.com 이진혁 기자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

fnSurvey

딥시크(DeepSeek), AI 판도 바꾸나

중국에서 개발한 저비용 인공지능 딥시크(DeepSeek)가 출시되었습니다. 오픈AI가 만든 챗GPT와 비슷한 성능을 자랑하지만, 개발비는 20분의 1수준인 550달러에 그쳐 더욱 주목받고 있습니다. 저렴한 비용, 우수한 성능, 빠른 처리 속도 등과 같은 장점들과 오픈AI와 다른 오픈 소스 전략을 도입한 딥시크. 이로인해 AI 생태계의 주도권이 중국에 넘어가진 않을지 모두가 주목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여러분의 생각하기에 딥시크가 AI 시장의 경쟁의 판도를 흔들 것이라고 생각하시나요?

투표기간 : 2025-02-04 ~ 2025-02-25 투표하러 가기

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