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청와대

尹대통령 '통일 세일즈'… 美中 갈등 중재 역할도 강조

김학재 기자,

김윤호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4.10.09 21:30

수정 2024.10.09 21:30

싱가포르 렉처 연설
"G2 패권경쟁에 국제질서 필요
갈등땐 솔직한 입장 전달해야"
라오스 아세안 정상회의도 참석
日·캐나다 등 6개국과 양자회담
기념 도자기 선물받는 윤 대통령 . 윤석열 대통령이 9일(현지시간) 싱가포르 오차드호텔에서 열린 제47회 싱가포르 렉처에서 찬 헹 치 동남아연구소 이사장 등 참석 패널들로부터 기념 도자기를 선물받고 있다. 왼쪽부터 테오 치 힌 선임장관, 윤 대통령, 찬 헹 치 동남아연구소 이사장, 초이 싱 궉 동남아연구소장. 연합뉴스
기념 도자기 선물받는 윤 대통령 . 윤석열 대통령이 9일(현지시간) 싱가포르 오차드호텔에서 열린 제47회 싱가포르 렉처에서 찬 헹 치 동남아연구소 이사장 등 참석 패널들로부터 기념 도자기를 선물받고 있다. 왼쪽부터 테오 치 힌 선임장관, 윤 대통령, 찬 헹 치 동남아연구소 이사장, 초이 싱 궉 동남아연구소장. 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싱가포르=김윤호 기자】 세계적 지도자들이 연사로 서왔던 싱가포르 렉처. 그 연단에 선 윤석열 대통령이 택한 주제는 통일이다. 한반도가 자유통일을 할 경우 인도태평양 지역이 누릴 수 있는 혜택을 직접 설명에 나선 것이다.

또 미국과 중국의 패권경쟁에 대해선 국제질서에 입각해 과열돼선 안 된다고 지적하며 중재 의지를 밝혔다. 10~11일 라오스에서 열릴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관련 정상회의에서도 이 같은 메시지를 거듭 내놓을 예정으로, 윤 대통령은 라오스에서 일본, 캐나다, 호주, 라오스, 베트남. 태국 등 6개국과 양자회담도 가질 예정이다.

■한반도 통일 따른 인태 혜택 부각

윤 대통령은 이날 싱가포르 정부 산하 동남아연구소 주최 싱가포르 렉처 연설에서 남북 통일로 한반도 전체가 개방되면 일어날 수 있는 호재들을 부각했다.

우선 한반도를 교두보 삼아 유라시아 대륙과 인태 지역이 직접 연결되면서 무수한 경제적 파급효과를 거둘 것이라는 점을 들었다.
윤 대통령은 "거대한 시장이 열린다"면서 에너지·물류·교통·인프라·관광 등 전 분야에 투자수요가 급증해 인태 지역 발전의 동력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반도를 고리로 한 교류 확대뿐 아니라 북한의 군사적 위협이 사라지는 데 따라 인태 지역 내 국가들 간의 신뢰가 강화되고, 해상 위험도 급감한다. 기존 인태 지역 내 교역도 지금보다 더욱 활성화된다는 것이다.

다만 통일은 근시일 내 이뤄지기 어려운 만큼 윤 대통령은 현재 상황에서도 인태 지역 발전에 이바지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인태 지역, 나아가 국제사회 연대 발전이 곧 미래의 통일을 준비하는 기반이라는 인식에서다.

윤 대통령은 청중들과의 질의응답에서 "북한이 핵무기에 매달려 당장 통일을 기대하긴 쉽지 않다"며 "다만 그에 부합하는 행동을 실천해야 기회가 왔을 때 국제사회에 도움이 되는 통일을 실현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일본·캐나다·호주 등과 정상회담

윤 대통령은 미중 패권경쟁에 대해서도 적극적인 역할에 나서겠다는 의지를 밝혔다.윤 대통령은 "미중의 전략적 경쟁이 과열되는데, 원칙은 규범에 입각한 국제질서라는 틀 안에서 진행돼야 한다고 본다"며 "미중 갈등 문제에 대한민국 국익이 걸렸을 때에는 양쪽에 솔직한 입장을 전달해서 문제가 합리적으로 풀리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윤 대통령이 미중 중재에 나서겠다며 자신감을 드러낸 건 한미 동맹이 최고조인 것은 물론 한중 관계도 회복세가 뚜렷해서다. 한미 동맹은 핵무기를 공유하는 수준에 이르렀고, 중국과는 지난 5월 4년 반 만에 한일중 정상회의를 재개하며 각급 소통창구가 복원되고 있다.


윤 대통령은 "한미 관계뿐 아니라 한중 관계도 상호존중, 국제규범과 원칙에 입각한 공동의 이익 추구 차원에서 만들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10~11일 아세안 관련 정상회의에 참석해서도 이 같은 메시지를 재차 발신할 예정이다.
아울러 일본과 캐나다, 호주 등 주요 국가들과의 정상회담도 따로 갖고 북핵 위협과 국제정세에 대해 논의한다. uknow@fnnews.com

hjkim01@fnnews.com 김학재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