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 건수는 세계 3위지만 2차전지 등에 과집중
화학, 정유 등 탄소 다배출산업에서 실적 부진해
유럽연합 탄소국경세 시작되면 무역장벽 직면 위기
한은 "R&D 등 40% 확대해야 글로벌 경쟁력 확보“
화학, 정유 등 탄소 다배출산업에서 실적 부진해
유럽연합 탄소국경세 시작되면 무역장벽 직면 위기
한은 "R&D 등 40% 확대해야 글로벌 경쟁력 확보“
■“특허 건수 많지만 탄소 다배출산업 등 주요 분야서 부진”
문제는 특허의 대부분이 2차전지(44%), 전기차(7%), 정보통신기술(ICT·7%) 등 이미 상용화된 분야에 집중돼 정작 혁신활동이 필요한 탄소 다배출 주력수출 산업에서의 실적이 저조하다는 것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화학 및 정유공정의 기후테크 특허출원건수의 글로벌 점유율은 3.6%, 철강 및 광물공정은 2.2%에 그쳤다. 철강·정유·화학 등 3개 업종이 2022년 기준 국내 산업 온실가스 배출량의 69.3%를 차지하는 점을 고려할 때 실적이 크게 부진한 것이다.
보고서를 작성한 최이슬 한은 경제연구원 미시제도연구실 과장은 "EU는 ‘탄소국경조정제도’를 도입해 2026년부터 수입품의 탄소배출량에 따라 추가비용을 부과할 예정"이라며 "탄소무역장벽의 본격 시행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탄소저감 기술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정부 지원, 중국 제외 시 최하위...中企 조달여건도 저조"
대기업 편중이 심각하다는 것도 국내 기후테크의 걸림돌이다. 지난 2021년 기준 우리나라 상위 4개 기업(LG화학·30.6%, LG에너지솔루션·15.2%, 삼성전자·14.1%, LG전자·8.1%)의 기후테크 특허출원 비중은 72.1%로, 10대 선도국 평균치인 29.7%를 크게 상회했다.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을 기록한 네덜란드(46.5%)와도 상당한 격차를 보였다.
기업 편중 현상에 신생중소기업 등의 기후테크 혁신자금 조달여건은 취약한 상태다. 우리나라의 녹색채권 발행규모는 2016∼2023년 중 국내총생산(GDP) 대비 0.30%로, 10대 선도국 평균(0.57%)보다 크게 낮았다. 또한 기후테크에 대한 벤처캐피탈 투자 규모도 같은 기간 GDP 대비 0.003%로, 10대 선도국(평균0.019%) 중 일본에 이어 두 번째로 낮았다.
■"정부 R&D·탄소가격·벤처투자 40%씩 확대하면 도약 가능"
특히 탄소 다배출산업의 탄소저감기술과 탄소포집·활용·저장 기술(CCUS) 등 개발 필요성이높은 분야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고 봤다. 지난 2022년 기준 기업 기후테크 연구개발비의 65%(연구개발활동조사 기준)가 2차전지·전기차·재생에너지에 집중된 반면 핵심유망기술인 CCUS는 1%(기후변화대응 기술개발 활동조사 기준)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최 과장은 "탄소배출 기업이 기후위기로 인한 피해비용을 부담하도록 탄소가격제의 실효성을 높여야 한다"며 "아울러 기업이 기술 상용화 이전에 수익을 내지 못하는 ‘죽음의 계곡‘을 효과적으로 건너갈 수 있도록 혁신자금 공급여건을 확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eastcold@fnnews.com 김동찬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