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일반

“AI에이전트로 투자한다”..버추얼프로토콜 시총 42억 달러 [코인브리핑]

김미희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5.01.06 16:22

수정 2025.01.06 16:22

로보어드바이저와 달리 자체적으로 가상자산 투자 등 관리
웹3 업계에 ‘AI 에이전트’가 급부상하고 있다. 사진은 오픈AI ‘챗GPT’로 제작한 AI 에이전트 간의 비트코인 거래 이미지.
웹3 업계에 ‘AI 에이전트’가 급부상하고 있다. 사진은 오픈AI ‘챗GPT’로 제작한 AI 에이전트 간의 비트코인 거래 이미지.

[파이낸셜뉴스] “인공지능(AI) 에이전트는 은행계좌를 만들 수 없지만 가상자산지갑은 만들 수 있다.” (글로벌 가상자산거래소 코인베이스 최고경영자(CEO) 브라이언 암스트롱)

블록체인과 가상자산 등 웹3 업계에 ‘AI 에이전트’가 급부상하고 있다. AI 에이전트가 스마트 컨트랙트(블록체인 기반 조건부 자동계약)를 통해 직접 가상자산을 관리할 수 있게 되면서다. 이는 가상자산 생태계 활성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AI 에이전트 관련 가상자산 몸값도 올라가고 있다.

6일 글로벌 가상자산 정보 플랫폼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AI 에이전트 관련 톱픽(최선호 종목)으로 꼽히는 ‘버추얼프로토콜’ 시가총액은 42억 달러(약 6조1700억원)로 집계됐다.
전 세계 가상자산 시총 가운데 30위권이다. 최근 일주일 간 20% 넘게 오른 버추얼프로토콜 가격은 4달러 대를 유지하고 있다.

특히 지난달 가상자산 시장이 약세였음에도 AI 에이전트 종목은 강세를 보이고 있다. NH투자증권 홍성욱 연구원은 “가상자산 시장의 관심이 AI 에이전트 종목에 쏠리고 있다”며 “유행에 매우 민감한 가상자산 시장이 단일 트렌드에 집중하고 있는 점은 다른 자산군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진단했다.

퇴직연금 로보어드바이저(RA) 등과 달리 AI 에이전트는 블록체인·가상자산 지갑과 가상자산을 활용해 자체적으로 투자를 수행한다. 홍 연구원은 “AI 에이전트 대 인간, AI 에이전트 대 AI 에이전트의 거래가 가능해지면서 지난해 10월 이후 다양한 실험이 이뤄지고 있다”며 “우선 AI 에이전트 간 협업을 촉진할 수 있는 버추얼 프로토콜과 ai16z 등이 주목 받는 중”이라고 전했다.

앞서 AI 에이전트 잠재력은 일론 머스크의 ‘도지코인’ 같은 밈코인(인터넷 유행 코인)에서 출발했다. 지난해 10월 출시된 ‘GOAT’라는 밈코인이 단기간에 7000%까지 급등한 것이다. 당시 ‘트루스 터미널’이라는 AI 에이전트가 매일 자동으로 수십개 트윗을 생성하며 GOAT 코인에 대한 관심을 유도했다. 코빗 리서치센터 이선영 연구원은 “AI 에이전트는 댓글에 반응하거나 사용자의 감정을 이해하는 등 고도화된 자연어 처리 기술들을 활용해 투자 커뮤니티 결속을 강화했다”며 “AI 에이전트는 데이터 기반으로 새로운 트렌드를 파악 및 실시간으로 대응하며 특정 프로젝트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는 맞춤형 내러티브를 생성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버추얼프로토콜 역시 사용자가 AI 에이전트를 생성하고 배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즉 해당 AI 에이전트의 소유권을 나타내는 토큰을 발행할 수 있다. 가상자산 데이터 플랫폼 ‘쟁글’에 따르면 버추얼 프로토콜의 총 공급량은 10억개로 제한되어 있다.

향후 AI 에이전트가 가상자산 거래는 물론 게임 등 콘텐츠 제작에 활용될 것이란 전망도 제기됐다.
이 연구원은 “AI 에이전트 활용은 학습과 자율적 실행 능력을 기반으로 웹3 생태계의 필수 요소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크다”며 “AI 투자모델인 ai16z, 메타버스와 게임을 위한 AI 팩토리 버추얼 프로토콜, 자동화된 거래 관리를 제공하는 ‘DawnAI’, AI 인플루언서 루나(Luna) 등이 있다”고 전했다. 이어 “특히 루나는 팬들에게 가상자산으로 보상을 지급하는 등 AI와 가상자산 간의 잠재적 시너지를 보여주는 흥미로운 사례”라고 덧붙였다.


웹3 컨설팅 기업 디스프레드도 새해 전망 보고서를 통해 “자신만의 지갑을 갖고 스스로 경제 활동을 하는 AI 에이전트들이 많아질 것”이라며 “AI 에이전트에 다양한 스마트 컨트랙트 기능이 추가되고 보안도 강화되면서 관련 서비스도 발전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elikim@fnnews.com 김미희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