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과학 과학

수소 만들고 이산화탄소 포집… 기후·환경 R&D 862억 투입

김만기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5.01.08 10:30

수정 2025.01.08 10:30


2025년 기후·환경 R&D 사업
2025년 기후·환경 R&D 사업
구분 예산 구분 예산
그린수소 기술자립 프로젝트 103억 바이오매스기반 탄소중립형 바이오플라스틱 제품기술개발 17억
H2NEXTROUND 68억 플라즈마 활용 폐유기물 고부가가치 기초원료화 기술개발 10억
미래수소원천기술개발 43억 Net-Zero대응 미세먼지 저감기술 개발 15억
디지털기반 기후변화 예측 및 피해 최소화 82억 동북아-지역연계 초미세먼지 대응기술개발 3.5억
C1가스리파이너리 밸류업 기술개발 60억 무탄소 에너지 핵심기술 개발(신규) 57억
DACU 원천기술개발 67억 차세대 CCU기술 고도화(신규) 42억
기후기술국제협력촉진 4.6억 AI기반 미래 기후기술 개발(신규) 31억
탄소자원화 플랫폼 화합물 제조기술개발 85억 H2GATHER(신규) 40억
석유대체 친환경 화학기술개발 92억 글로벌 C.L.E.A.N.(신규) 40억
(과기정통부)

[파이낸셜뉴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기후 변화의 속도를 늦추고, 그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연구개발(R&D) 사업에 올해 총 862억원을 투입한다. 주요 기후·환경 R&D 사업으로는 수소와 이산화탄소 포집·활용(CCU), 인공지능(AI) 기반 기후예측기술 등 기후변화대응 기술개발이다.

과기정통부는 '2025년도 과기정통부 R&D 사업 종합시행계획' 중 기후·환경 R&D 분야를 이달 말부터 신규과제를 추진하고 본격 지원에 나설 계획이라고 8일 밝혔다.

■탄소 배출 없이 전기 만든다


올해는 211억원을 투입해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무탄소 에너지 분야 기술개발과 함께 AI 기반 기후 예측 기술, 글로벌 R&D 플래그십 사업 등이 새롭게 추진된다.

먼저, 57억원을 투입하는 무탄소 에너지 핵심 기술개발 사업은 태양전지, 연료전지 등 무탄소 발전원을 활용한 핵심 에너지 신기술 확보다.
이를 통해 대외 에너지 의존도를 완화하겠다는 계획이다. 또 차세대 CCU 기술고도화 사업에 42억원 이상을 투입해 무탄소 에너지와 연계한 CCU 전주기 기술개발에 나선다.

AI 기반 미래기후기술개발 원천연구 사업도 새로 계획해 31억원을 지원한다. 이 사업은 AI 등 첨단기술을 활용해 기존 방식으로는 예측·대응이 어렵고, 막대한 피해를 유발할 수 있는 기후재난을 신속·정밀하게 예측하고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원천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목표다.

이와함께 해외 선도 연구그룹과 수소·CCU 등 탄소중립 핵심기술 분야를 중심으로 협력 연구를 통해 기술적 난제를 해결하고, 글로벌 협력기반을 조성하기 위한 국제공동연구 사업 2건에 각각 40억여원을 지원한다.

■수전해 기술개발에 박차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진행하는 R&D 사업은 651억원이 투입된다. 대표적으로 차세대 알칼라인 수전해 국산기술개발사업 등이 포함된 그린수소 기술자립 프로젝트에 103억원을 지원한다. 또 수소 넥스트 라운드 사업에 68억원을 배정해 고체산화물 수전해(SOEC) 기술과 음이온 교환 막(AEM) 수전해 기술을 육성한다.

이와함께 미래수소 원천 기술개발에 43억원, 디지털기반 기후변화 예측 및 피해 최소화를 위해 82억원을 지원키로 했다.

탄소자원화 플랫폼 화합물 제조기술 개발에는 85억원, 석유대체 친환경 화학기술 개발에도 92억원을 투입키로 했다.

■R&D에서 사업화로 연결


과기정통부는 과학기술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개발된 기술이 사업화와 연계될 수 있도록 민·관 협력을 강화한다. 기술개발과 실증연계를 강화하고, 주요 기술분야별 수요기업 협의체 운영 등을 통해 산업수요 맞춤형 기술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핵심기술개발과 산업육성이 연계될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 구축과 연계한 기술개발을 추진한다.
지난해 제정된 CCUS 통합법안을 기반으로 CCU 기술·제품 인증과 전문기업 확인 제도 등을 마련해 기술 기반의 신산업 육성을 적극 지원키로 했다.

이와함께, 대형 신규 R&D 사업기획을 통한 기후변화대응 기술개발 예산 확대를 지속 추진한다.
학회, 출연연구기관, 기업 등과의 개방형 상시 R&D 사업기획 플랫폼 구축 추진 등을 통해 기존사업의 일몰, 종료 등으로 인한 예산 공백 문제를 해소할 계획이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