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과학 과학

잘 모를 때 남 따라 하는 이유 '뇌'에 있었다

김만기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5.01.09 18:45

수정 2025.01.09 18:45

정동일 교수 계산신경과학 연구
뇌 '타인의 선택'이란 정보 활용
불확실한 상황 지름길 고르는 것
뇌 손상 있는 사람 동조효과 더 커
잘 모를 때 남 따라 하는 이유 '뇌'에 있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바이오메디컬공학과 정동일 교수(사진)팀은 미국 버지니아공대 연구진과 함께 불확실성 상황에서 무조건 남들을 따라 하는 결정이 뇌에서 나타나는 대체 전략이라는 사실을 계산신경과학적으로 분석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즉 처음 가본 중국집에서 다른 손님들이 다 짜장면을 먹고 있다면 비록 내가 짬뽕을 좋아하더라도 짜장면을 먹을까 고민한다. 중국집에 대한 정보가 없는 불확실성 상황에서 타인의 선택을 따라 하려는 것이다.

정동일 교수는 9일 "개인 선호도가 뚜렷하지 않은 사람들이 때때로 주위 사람들 의견에 더 민감하게 휘둘리는 이유를 설명한 연구"라며, "중독과 같은 사회적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더 나은 환경을 조성하는 것뿐만아니라, 개인의 선호를 확립하는 교육적 접근도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뇌는 타인의 선택이라는 사회적 정보를 '휴리스틱' 전략을 통해 의사결정에 반영한다.
개인 선호를 반영한 가치판단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남의 선택을 무조건 모방하는 지름길을 택하는 것이다.

연구팀은 뇌의 섬피질 혹은 배측 전측대상피질에 부분 손상이 있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실험을 통해 이 같은 사실을 밝혀냈다. 섬피질 이나 배측 전측대상피질은 불확실성 정보를 처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실험참가자들은 두 옵션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게임을 반복해서 진행했다.
각 옵션을 선택할 때마다 정해진 확률로 보상이 주어지며 하나는 보상 범위가 넓은 위험한 옵션, 다른 하나는 보상 범위가 좁은 안전한 옵션이다.

일부 시행에서는 다른 참가자들의 선택을 확인한 후 결정할 수 있었고, 나머지 시행에서는 타인의 선택을 보지 않고 스스로 결정해야 했다.


실험 결과 뇌 손상이 있는 참가자들은 예상과 같이 위험 선호도에 따른 가치평가가 불가했으며, 타인의 선택을 본 이후 결정을 내리는 사회적 상황에서 타인의 선택을 따라 하는 동조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