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연구원, 인구소멸 실태 조사
187곳 중 64곳 ‘심각·위기·주의’
춘천·원주·강릉도 인구 감소 직면
187곳 중 64곳 ‘심각·위기·주의’
춘천·원주·강릉도 인구 감소 직면

【파이낸셜뉴스 춘천=김기섭 기자】강원도 총인구가 그동안 유지됐던 150만명 선 붕괴 위기에 놓인 가운데 도내 읍면동 10곳 중 3곳 이상에서 지역소멸 경고등이 켜졌다.
17일 강원연구원에 따르면 백영미·신지훈 연구위원이 최근 '소멸 경고지수로 본 강원도의 인구소멸 실태'를 주제로 한 정책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들은 기존 '지역소멸 지수'가 아니라 올해 처음 읍면동 등 세부 행정단위 기준으로 별도 개발한 '강원도 소멸 경고지수'를 활용해 인구소멸 실태를 조사했다.
기존 지역소멸지수는 65세 이상 노인과 20~39세 여성 인구 2개 수치만을 이용, 지역별 인구변화상황 등을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었으나 강원도 소멸 경고지수는 지역별 인구감소율, 가임여성비율, 65세 미만 인구 증감률을 적용했다.
조사는 강원도내 읍면동 193곳 가운데 주민 미거주 및 인구 집계 미실시된 6곳을 제외한 읍면동 187곳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조사 결과, △심각(0.8 이상) 14곳 △위기(0.7~0.8) 23곳 △주의(0.6~0.7) 27곳 등 64곳에서 지역소멸 경고등이 켜졌다.
특히 '빅3 도시'로 불리는 춘천, 원주, 강릉 등에서도 '소멸 심각' 또는 '소멸 위기' 지역에 포함되는 지역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춘천시는 남면과 동산면, 북산면이 심각 단계, 사북면이 위기 단계에 있는 것으로 조사됐으며 원주시는 중앙동이 심각 단계, 귀래면과 부론면이 위기 단계로 분석됐다. 강릉시는 왕산면이 심각 단계, 강동면이 위기 단계에 처했다.
나머지 15개 시군에서도 △삼척시 가곡면, 노곡면, 신기면 △양구군 방산면 △영월군 산솔면 △정선군 화암면 △태백시 구문소동, 철암동 △횡성군 서원면이 ‘소멸 심각’지역으로 분류됐다.
또한 어촌보다는 농촌이, 접경지역보다 폐광지역의 지역소멸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같은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백영미·신지훈 연구위원 기존 소멸 지수에 기반을 둔 정책 수립에 한계가 있다고 진단했다.
이들은 "시군 차원에서 정책이 수립되면서 지방소멸대응기금이 기반 시설 조성에 매몰되는 성향이 매우 높았다"며 "2023년 기초단체 대응 기금 7477억 원 중 60% 미만이 집행됐으며 화천군과 양양군 등은 기반 시설 설계에 1~2년이 소요돼 첫해 예산 집행률이 1% 수준이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인구를 늘리는 가장 큰 유인책인 지역민 소득개선과 일자리 창출 정책을 빠르게 도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현장 맞춤형 소멸대응정책이 수립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kees26@fnnews.com 김기섭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