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이낸셜뉴스] 부산 기장군 오시리아 관광단지 내 반얀트리 해운대 부산 복합리조트 신축 공사장에서 발생한 화재 당시 안전 관리와 소방시설이 미비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6일 부산경찰은 국립과학수사연구원과의 조사 결과, 1층 배관실(PT룸)에서 발생한 불똥이 아래층 배관 보온재에 옮겨붙으며 불이 시작됐다고 밝혔다. 국과수는 "지상 1층 PT룸 작업 중 발생한 불똥이 지하 1층 수처리 기계실 상단부 배관 보온재 등을 매개로 발화했을 가능성이 있다"라고 결론지었다.
PT룸은 배관을 관리·유지·보수하는 공간으로, 이번 화재로 6명이 숨진 곳이다. 경찰은 배관 보온재가 난연성 소재인 발포폴리에틸렌으로 확인됐으며, 화기를 다루는 작업 중 불이 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경찰 조사에 따르면 화재가 발생한 수처리실과 PT룸의 소방 설계 도면에는 존재했던 화재 감지기, 통로 유도등, 시각 경보기 등이 실제 현장에는 설치되지 않았다. 현행법상 필수 배치해야 할 화재 감시자가 없었던 것으로 확인돼 안전 관리 부실이 화재 확산의 원인이 된 것으로 분석됐다. 화재 감시자는 가연성 물질에 불똥이 튀면 즉각 소화기로 대응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하지만, 이번 사고 현장에는 배치되지 않았던 것으로 밝혀졌다.
스프링클러가 터진 흔적은 있었으나 실제로 소화수가 나왔는지에 대해서는 추가 조사가 필요한 상황이다.
경찰은 화재 발생 이후 삼정기업 본사를 포함해 세 차례 압수수색을 진행했으며, 소방시설 미설치에도 준공 승인이 난 과정에 대해 조사 중이다. 현재 업무상 과실치사상 혐의로 10명 이상을 입건했으며, 출국 금지된 인원도 10명 이상이다.
경찰 관계자는 "부산고용노동청에서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 여부를 조사하고 있다"라며 "경찰 수사는 이르면 이달 중에 마무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425_sama@fnnews.com 최승한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