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동서울변전소 이르면 내달 초 첫삽… 수도권 전력공급 숨통

이유범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5.03.18 17:40

수정 2025.03.18 17:51

한전, 변전소 옥내화·증설 추진
동해안~수도권 전력망 사업 가속
전자파 실시간 모니터링 등
하남지역 주민 의견 반영키로
동서울 변전소 전경. 한국전력 제공
동서울 변전소 전경. 한국전력 제공

경기 하남시의 반대로 6개월 가까이 표류하던 동서울변전소가 이르면 다음달 착공한다. 착공이 시작되면 그동안 지연되던 총연장 280㎞의 동해안∼수도권 초고압직류송전(HVDC) 전력망 사업도 가속화될 전망이다.

1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하남시는 지난 13일 '345㎸(킬로볼트) 동서울변전소 옥내화 토건공사'를 위한 도시계획시설 사업 시행자 지정 및 실시계획(변경) 인가를 위한 열람·공고를 시작했다.

한국전력이 변전소 등 전기공급설비를 건설할 때 지자체로부터 실시계획 인가를 받아야 하는데, 이를 위한 사전 절차다. 동서울변전소는 총연장 280㎞의 동해안∼수도권 HVDC 전력망 사업의 최종 관문으로 여겨진다.



한전은 하남시 감일동 소재 동서울변전소의 옥내화와 증설을 추진해왔다. 옥외에 있는 345㎸의 시설을 옥내화하고, 이를 통해 확보한 여유 용지에 HVDC 전압 500㎸ 변환소를 건설할 예정이었다. 이는 최근 동해안에 건설된 신규 발전소에서 생산된 값싼 전력을 원활하게 수도권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하지만 하남시가 불허하면서 6개월 가까이 지연됐다.

사업 진행에 다시 청신호가 켜진 것은 지난해 12월이다. 경기도행정심판위원회가 한전이 하남시를 상대로 제기한 행정심판에서 한전의 손을 들어줬기 때문이다. 행정심판 이후 최근 하남시가 관련 인허가 절차를 재개하기로 하면서 수도권 전력공급은 물론 동해안 발전소들의 송전 상황까지 한숨을 돌리게 됐다.

동해안∼수도권 HVDC 전력망을 이용하기 위해 대기 중인 동해안 발전소 용량만 6.8GW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기에는 공기업인 한국수력원자력의 신한울 1, 2호기(2.8GW) 외에 민간 발전인 강릉안인화력 1·2호기(2.0GW), 삼척화력 1·2호기(2.0GW) 등이 있으며, 이들 발전소는 건설이 지연된 송전 선로로 인해 송전 제약에 걸려 있다.

동서울변전소를 비롯해 동해안∼수도권 HVDC 전력망이 완성되면 이들 발전소의 송전 제약이 풀리는 것과 동시에 수도권 전력공급에도 숨통이 트일 전망이다. 한전은 동서울변전소를 복합업무공간으로 조성하겠다는 계획이다.

우선 변전소 건물 상부 증축을 통해 한전 동서울전력지사, 한전KPS, 한전KDN, 카페스(KAPES) 등 전력 유관기관 6개를 입주시킬 계획이다. 아울러 HVDC 엔지니어링센터와 제어시스템 연구소, 교육센터, 전시관 등 첨단시설을 갖춘 HVDC 기술허브도 구축한다.

건설 과정에서 지역 주민 반대로 사업이 크게 흔들린 경험이 있는 만큼 주민 친화에도 주력한다는 계획이다. 우려가 큰 전자파 문제와 관련해 주민들이 지정하는 장소에 전자파를 실시간으로 모니터할 수 있는 설비를 설치하고 변전소 외관도 지역 주민들 의견을 반영해 설계할 예정이다.

한전 관계자는 "다양한 채널을 통해 지역주민과 소통을 강화해 주민들이 원하는 모습의 동서울변전소를 건설토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leeyb@fnnews.com 이유범 기자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

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