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이낸셜뉴스]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21일 윤석열 대통령의 지난해 12월 비상계엄 사태의 실질적인 영향이 크지 않다고 주장했다. 오히려 외교무대에서 우리나라의 민주주의 복원력에 대한 국제사회의 신뢰가 크다는 것을 느꼈다고 강조했다.
조 장관은 이날 일본 언론 인터뷰에서 “계엄령 선포가 국제사회를 놀라게 했고 우리 외교와 경제에 영향을 끼친 것도 사실이지만, 선포 후 즉시 해제돼 실제 영향은 우려한 만큼 크지 않았다”고 짚었다.
조 장관은 지난해 12월 3일 밤 비상계엄 선포 직전 국무회의에서 국제신인도 급락 등을 설명하며 여러 차례 윤 대통령을 만류한 바 있다. 이후 계엄 해제 국무회의에도 자리했다.
탄핵정국에 들어서는 정상외교 빈자리를 메꾸면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신행정부 출범에 대응하는 데 집중했다. 지난달 독일 뮌헨안보회의(MSC)를 계기로 한미·한미일 외교장관회담을 열고, 오는 22일 일본 도쿄 한중일 외교장관회의를 개최하는 게 대표적이다.
조 장관은 “(윤 대통령 탄핵소추로 인한) 정상외교 공백이 초래한 손실이 큰 것도 사실이지만 탄핵정국이 마무리되기까지는 권한대행 체제 하에서 최대한 그 공백을 메꿀 수밖에 없고, 저도 외교장관으로서 가능한 한 광폭외교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다행히 제가 외교 현장에서 느낀 건 우리 민주주의의 강인함과 복원력에 대한 국제사회의 신뢰와 기대가 우려보다 훨씬 크다는 것”이라고 부각했다.
계엄 사태에 따른 국제사회의 우려와 불신이 생긴 건 사실이지만, 계엄이 신속히 해제되고 탄핵소추를 비롯해 절차에 따라 사태가 수습되는 데 따라 국제사회의 한국에 대한 신뢰와 기대도 동시에 커졌다는 것이다.
uknow@fnnews.com 김윤호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