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주=뉴스1) 유승훈 기자 = 전북자치도 보건환경연구원은 일본뇌염 주요 매개종인 작은빨간집모기 감시를 위해 '일본뇌염 유행예측 조사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31일 밝혔다.
연구원은 4월부터 오는 10월까지 완주군 상관면 소재 축사에서 매주 2회 모기를 채집해 작은빨간집모기의 출현 여부 및 개체 밀도를 조사한다.
작은빨간집모기는 논·축사·물웅덩이 등에 서식하는 암갈색의 소형 모기다. 주로 야간에 흡혈 활동을 한다.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가진 모기에 물릴 경우 대부분 무증상, 가벼운 발열 증상을 보이지만 일부는 뇌염으로 악화돼 치명적 후유증을 남기거나 사망(20~30%)에 이를 수도 있다.
지난해 전북에서는 6월18일 첫 작은빨간집모기가 발견돼 모기물림 주의보가 발령됐다. 올해는 전남·제주 지역에서 이미 작은빨간집모기가 출현하면서 지난 27일 일본뇌염 주의보가 발령된 상황이다.
이에 따라 연구원은 모기 발생 밀도 분석을 강화하고 일본뇌염 예방 홍보를 확대할 계획이다.
전경식 전북자치도 보건환경연구원장은 "도민들이 감염병으로부터 안전할 수 있도록 철저한 감시체계를 유지하겠다”며 “면역력이 약한 생후 12개월에서 만 12세 아동은 국가예방접종을 완료하고 야외활동 시 밝은색 긴 옷 착용 및 기피제 사용 등 방지수칙을 준수해 달라"고 당부했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