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 15%·커피 8%·빵 6% 올라
수산물은 19개월만에 최대폭 ↑
한은 "환율·내수 불확실성 여전"
산불로 농산물 공급차질 가능성
전국 사과재배지 9% 면적 불타
정부 "수급 영향은 제한적일 것"
수산물은 19개월만에 최대폭 ↑
한은 "환율·내수 불확실성 여전"
산불로 농산물 공급차질 가능성
전국 사과재배지 9% 면적 불타
정부 "수급 영향은 제한적일 것"

![가공식품 가격 3.6% 껑충… 최악 산불에 금사과 돌아오나 [3월 물가 2.1% 상승]](https://image.fnnews.com/resource/media/image/2025/04/02/202504021818388690_l.jpg)
■올해 물가 전망치 1.8%
2일 통계청이 내놓은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3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16.29(2020년 100)로, 1년 전 같은 달보다 2.1% 상승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9월부터 12월까지 1%대를 유지했지만, 올해 1월 2.2%로 올라선 데 이어 2월에도 2.0%를 기록하며 2%대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한국은행은 최근 물가 흐름에 대해 "불확실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사흘 연속 1470원대를 이어가고 있는 원·달러 환율이 물가의 상방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의 올해 물가안정 목표는 2.0%다. 김웅 한국은행 부총재보는 "환율과 유가 흐름, 내수 동향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높아 향후 물가 상황을 면밀히 점검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가공식품 상승률 3.6%
농축수산물 가격은 1년 전보다 0.9% 상승에 그쳤다. 그러나 축산물은 3.1%, 수산물은 4.9% 올랐으며 돼지고기(6.5%)와 수입 쇠고기(5.6%)의 상승폭이 두드러졌다. 수산물의 경우 2023년 8월(6.0%) 이후 1년7개월 만에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 특히 김(32.8%) 가격은 조업일수 감소로 생산량이 줄며 상승세를 이어갔다.
가공식품은 3.6% 오르며 2023년 12월(4.2%) 이후 1년3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는 전체 물가를 0.30%p 끌어올리는 요인이 됐다. 김치(15.3%), 커피(8.3%), 빵(6.3%), 햄 및 베이컨(6.0%) 등이 가격 상승을 주도했다. 가공식품은 지난해 대부분 1%대 상승률을 유지했으나 올해 들어 1월 2.7%, 2월 2.9%로 오르며 상승 흐름이 뚜렷해졌다.
기획재정부는 고환율, 원자재·인건비·에너지 비용 상승 등 복합적인 요인이 가공식품 출고가 인상에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정부는 가공식품 물가안정을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섰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코코아, 커피 등 식품 원자재에 대한 할당관세 적용품목을 기존 13개에서 19개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일부 품목의 수입부가세 면세, 밀·코코아·커피·유지류 등 식품 소재 구입자금 지원 등을 통해 식품업계의 원가 부담을 완화하고, 물가안정을 유도할 방침이다.
■경북 산불, 사과 값에 영향 줄까
경북·경남 지역의 대형 산불 역시 물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다. 이들 지역은 봄배추, 마늘, 건고추, 사과, 자두 등의 주요 산지로 일부 품목의 수급에 차질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특히 산불로 인해 사과 재배면적 약 3000㏊(1㏊는 1만㎡)에 대한 피해신고가 접수됐다. 이는 전국 사과 재배면적(약 3만4000㏊)의 9%가량이다. 사과꽃이 피는 4월이 돼야 정확한 피해 규모와 수급 영향을 판단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농림축산식품부는 산불에 따른 가격 및 수급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내다봤다. 전한영 농식품부 대변인은 "봄배추와 고추는 아직 본밭에 옮겨 심기 전이라 피해가 거의 없을 것으로 보고 있고, 마늘은 주로 논에 심는 작물이기 때문에 산불 피해지역과 거리가 있다"며 "현재까지 수급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이어 "사과의 경우 4월 중·하순 실제 개화 상황을 지켜봐야 피해 정도를 가늠할 수 있을 것"이라며 "피해 신고면적 중에서도 실제 불에 탄 직접 피해면적은 제한적"이라고 설명했다.
junjun@fnnews.com 최용준 김동찬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