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이낸셜뉴스]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이 오는 27일 대선후보 확정을 앞두고 막바지에 접어들었다. 이재명·김경수·김동연 후보가 그간 내놓은 공약들을 살펴보면 공통점이 상당했지만, 그 가운데서도 각 후보별 차별화 공약이 눈에 띄었다.
23일 민주당에 따르면, 세 후보의 대규모 공약은 겹치는 내용이 많다. 대통령 집무실과 국회 세종 이전, 5·18광주민주화운동 헌법 전문 수록, 검찰을 수사청과 기소청으로 분리하는 재편, 모병제 단계적 도입 등은 세 후보 모두 공통적인 공약이다.
AI(인공지능) 산업에 민관투자 100조원은 이재명·김경수 후보가 내걸었다.
이처럼 대규모 공약은 당 정책 방향에 따라 유사한 가운데 각 후보별 고유공약들도 제시돼 눈길을 끌고 있다.
먼저 이 후보는 AI 투자 확대와 함께 ‘모두의 AI’ 프로젝트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국가 주도로 전 국민이 무료로 활용할 수 있는 생성형 AI를 마련하겠다는 구상이다. 이른바 한국형 챗GPT인 ‘모두의 AI’를 개발해 빠르게 데이터를 쌓고 신산업 창출을 유도하겠다는 것이다.
또 이 후보는 윤석열 정부가 실패한 의과대학 정원 증원을 위한 사회적 합의도 약속했다. 석탄발전을 2040년까지 폐쇄해 탄소중립을 달성하고 미세먼지 저감한다는 목표도 세웠다.
김경수 후보는 AI 공약을 발표하면서 원화 기반 스테이블 코인 도입을 검토하겠다고 밝혀 주목을 끌었다. 스테이블 코인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도 달러 패권 강화 수단으로 육성하고 있다. 이로 인해 스테이블 코인에 돈이 쏠리고 결제·송금 수단으로 보편화되는 데 대한 대응책으로 제시한 것이다.
김 후보는 윤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를 막고 탄핵소추를 하는 데 힘을 보탠 모든 세력들과의 연정도 주장했다. 세 후보 모두 강조한 지방자치를 두고 5대 권역(수도권·충청·호남·경남·경북)과 전북·강원·제주 3개 특별자치도에 총 30조원 예산권 부여를 약속키도 했다.
김동연 후보는 비동의강간죄 도입을 주장했다. 젠더갈등과 직결돼 민감한 문제인 데다 2030세대 남성들의 반감이 크다 보니 여야 모두 섣불리 거론하지 않는 사안인데, 전격 공약으로 내건 것이다. 김 후보는 민주당이 추구하는 가치에 부합한 문제임에도 경쟁후보들이 언급하지 않는 것을 비판하기도 했다.
김 후보는 여성에 이어 장애인과 비정규직 등 사회적 약자를 위한 차별화된 공약들을 내세웠다. 대통령 직속으로 국가장애인위원회를 신설해 관련 정책에 힘을 싣고, 비정규직에 대해선 근로기간이 7년이 되면 6개월의 유급휴가를 보장하는 안식년제를 제안했다.
uknow@fnnews.com 김윤호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