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후쿠시마서 핵무기용 플루토늄 검출 논란

김영선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1.03.29 16:21

수정 2014.11.06 23:30

일본 후쿠시마 원자로 연료봉이 녹아 내리는 용융이 시작된 가운데 플루토늄이 검출되자 방사능 확산 우려가 커지고 있다.

29일(이하 현지시간) 요미우리신문, 니혼게이자이신문, AFP통신 등에 따르면 도쿄전력은 지난 21∼22일 이틀에 걸쳐 원전 부지내 5곳의 토양을 채취한 결과 플루토늄 238·239·240이 소량 검출됐다고 밝혔다. 플루토늄은 우라늄이 변형된 것으로 인체에 흡수되면 수 십년 동안 쌓여 장기 및 세포조직을 파괴하고 암 발생률도 높인다.

특히 플루토늄은 핵무기에도 사용돼 일본의 핵무기 제조 논란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당초 일본에선 원자로가 폭발하자 플루토늄의 방출여부를 조사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제1원자력발전소의 원자로 1∼6호기 중 3호기에선 그동안 원전 주변에서 검출됐던 우라늄 외 플루토늄도 사용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플루토늄 검출 사실은 조사가 실시된지 일주일 만에 밝혀져 그동안 도쿄전력이 이를 숨기고 있었던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일고 있다.

원자로 폭발의 징후로 여겨지는 노심의 용융도 공식 확인됐다. 원자력안전보안원은 “어떤 원자로에서 나왔는지 정확히 확인되지 않았지만 연료봉이 손상돼 방출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에다노 유키오 관방장관도 이날 오전 기자회견에서 “(원자로 내부)연료봉에서 방출된 것이 거의 확실하다”며 “이는 연료봉이 어느 정도 녹았음을 뒷받침하는 것”이라 말했다.

후쿠시마 원전 사태를 국제연합(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다뤄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남부 캘리포니아대학교의 한 엔지니어 교수는 “한 국가를 넘어 전세계적인 차원에서 다뤄야 할 문제”라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도 상정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일본 도쿄전력은 이에 앞서 원자로의 심각한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프랑스에 도움을 요청했다고 프랑스 산업부장관이 전날 밝혔다. 장관은 이날 RTL라디오 방송에서 “도쿄전력이 처음으로 프랑스에 도움을 청했다”며 특히 방사능에 오염된 물을 조사할 전문가를 요청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프랑스 원자력기업 아레바(AREVA)는 2명의 전문가를 파견할 의향을 나타냈으며, 국영 전기공사(EDF)는 로봇을 포함한 특수장비 130t을 보낼 준비가 됐다고 밝혔다. /ys8584@fnnews.com 김영선 인턴기자

fnSurvey